[투명사회]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투명사회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4년 3월
평점 :
웹 2.0 시대를 거쳐 소셜미디어로 넘어오면서 웹에서는 한창 논쟁이 붙었었다. 물론 지금도 현재진행형의 논쟁이기도 하지만 소셜미디어의 유용성과 더불어 웹상에 정보가 공개되는 방식, 그리고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것이 옳은가에 관한 논쟁이다. 물론 이 논쟁은 인터넷이 활성화되면서 꾸준히 제기되어 왔던 문제이기도 하다. 정보를 요구하는 방식, 그리고 그 투명성의 잣대.
<투명사회>의 소제목들은 이 사회의 투명화를 일궈내는 부분을 나누어 이야기하는 듯하다. 오로지 보이는 데에 집중하는 '전시사회', 암시와 감춤의 미학 자체를 말살시키는 '포르노사회' 등 파놉티콘의 부속물들로 이야기한다.
<투명사회>에서 한병철은 투명성에 대해 가지고 있는 착각을 경고한다. 투명성이 더 많은 자유와 더 나아가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며 현명한 결정을 내리게 해준다는 착각. 그런 긍정성도 있겠지만 저자는 ‘투명사회’란 결국 스스로를 드러내며 통제해버리는 감시사회가 될 수 있음을 경고한다. 마치 <피로사회>에서 자기 자신을 착취하는 인류에 대해 경고하듯.
이 사회는 솔직한가. 그리고 사회에서 당신은 안전한가. 버릇처럼 두 손으로 두드려대는 스마트폰과 점점 빠르기를 강조하는 인터넷 세상에서 사람들은 감시사회로 내몰리고 있다. 감추지 않았다며 그저 자극적인 컨텐츠들은 어디서든 범람하고 있고, 그런 방식은 더 이상 미학적이지 않다. 정보과다의 시대다. 혹자는 소셜미디어가 우릴 똑똑하게 만든다며 자부하지만 그만큼 우린 우리가 자연스레 똑똑해진다는 착각에 빠지기 쉽다. 그리고 그 정보들은 정제되지 않은 것들이다.
날것의 것들은 매력있지만 우리의 속을 배려놓을 수 있고, 날 것은 날 것 자체가 마냥 아름다운 것은 아니다. 우린 이제 우리의 삶에서 투명성을 경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