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업사회]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무업 사회 - 일할 수 없는 청년들의 미래
구도 게이.니시다 료스케 지음, 곽유나.오오쿠사 미노루 옮김 / 펜타그램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할 수 없는 그대여,

 

 

‘일할 수 없는 청년들의 미래’라는 부제가 나의 가슴에 콕하고 박혔다. 졸업을 얼마 남기지 않은 학생 신분의 나에게는 ‘취업’이라는 건 무거운 짐처럼 여겨졌다. ‘88만원 세대’, ‘3포 세대’, ‘7포 세대’ 등 지금의 청년들을 지칭하는 말은 수없이 많다. 그만큼 ‘청년실업’이라는 말은 정말로 우리들의 현실이 되어버렸다.

 

 

‘한국은 10년 전 일본이라는 말’이 있다. 모든 역사가 비슷한 연결고리의 순환을 반복하듯, 일본과 비슷한 흐름으로 우리나라가 흘러간다는 것이다. 그 예로 일본에서 오래전부터 문제가 되어 오던 청년실업이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가 넘어서면서 두드러지기 시작했다. 이는 오늘날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로 화두 되고 있다. 무업사회란 ‘누구나 무업 상태가 될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무업상태에 처하게 되면 그로부터 빠져나오기가 힘든 사회’를 말한다. 지금의 우리의 모습과 별반 다르지 않다. 현재 청년세대 앞에 놓인 상황은 과거 어느 세대도 경험하지 못했던 상황이라 할 수 있다.

 

 

갈 곳 없는 청년들이 일자리를 달라며 목터져라 소리 치던 모습을 뉴스에서 종종 본적이 있다. 그럴때면 몇몇 기성세대들이 쯧쯧 혀를 차며 ‘열심히 안해서 그래’하고 손가락질 하던 모습에 속상했던 적이 한 두번이 아니었다. 과거와 열심히 노력한 만큼 고생을 보상받을 수 있었던 시대와는 달리, 오늘의 시대는 소위 말하는 대기업 입사 스펙을 갖고서도 서류 전형 하나 제대로 통과 못하는 경우도 많다. 과연 청년들의 눈이 너무 높아서 그런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저자가 말했듯 인간은 기계가 아니다. 자리가 먼저인 것이 아니라 사람의 재능이 먼저여야하는 것이다. 최소한 기본적으로 근로할 수 있는 여건과 환경을 제공하지도 않고서 그 자리에 사람을 끼워맞추려고 하는 것은 인간으로써 인간을 기계 부품 이하로 취급하는 것과 다를바가 없다. 이러한 인식은 사회 전반에 걸쳐 비생산적인 결과만을 낳을 뿐이다.

 

 

어느 순간 정규직과 계약직이라는 명칭이 아주 자연스레 사용되기 시작했다. 예전만 하더라도 대학을 졸업한다는 것은 취업을 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요즘에는 대학 졸업은 곧 계약직 인생을 의미하는 것이고 그곳에서 오랜시간 경력을 쌓아야만 정규직이 될 수 있다. 사회에 뛰어든지 10년이 넘은 청년들 중에서는 여전히 정규직이 되지 못한 채 비정규직 삶을 영위하는 경우도 많다. 신입 채용 공고에서 경력직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제 갓 사회에 뛰어든 청년들이 어떻게 겅력이 있단 말일까? 참 우스꽝스러운 세상이다.

 

약한 청년들이 가득한 세상, 지금의 청년 무업사회는 사회의 문제를 청년들의 문제로 전가시켜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고령화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상황 속에서 국가의 경제를 짊어진 우리 청년들이 경제적 생산을 하지 못한다는 것은 곧 국가 경제 악화로 이어질 것이다. 친구들은 내게 말한다. 그냥 평범하게 살고 싶다고. 지금 청년들의 꿈은 잘 먹고 잘사는 부자의 삶이 아니라, 취직을 하고 가정을 꾸리는 아주 일상적인 삶일 뿐이다. 일하고 싶지만 일할 수 없는 사회, ‘무업사회’는 우리에게 또 한번 경각심을 일깨워준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