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예술 주목 신간 작성 후 본 글에 먼댓글 남겨 주세요.
바다를 최후의 식민지쯤으로 여기는 시선들이 있다. 바다의 풍요와 생산성을 찬양하며 마치 마르지 않는 샘인양 인류의 미래가 바다에 있다고 단언한다. 그러나 생각해 보라. 이미 인류의 탐욕이 가 닿지 않는 곳이 지구에 남아있던가. 현생인류는 지구에 나타난 종족들 중 가장 몹쓸 종족임에 틀림없다. 대체 어떤 족속이 자신의 생활근거를 남김없이 해치워버리고 벌버벗는 쪽을 당연하다는 듯 선택하겠는가 말이다. 황량해지고 있는 바다의 현실에 경종을 울릴만한 책으로 기대한다.
동시대 가장 뜨거운 철학자/사상가로 꼽히는 알랭 바디우가 저 세상으로 간 프랑스 철학자들에게 바치는 헌사 14편을 모았다. 그 중에는 바디우와 학문적으로, 혹은 현실적으로 웬수에 가까웠던 들뢰즈나 데리다도 포함되어 있단다. 라캉과 사르트르, 알튀세르, 푸코, 사르트르 등 철학자들의 면면이 흥미롭다. 바디우의 시선으로 읽어내는 이들의 사상 역시 흥미롭지 않으려나?
<콘크리트 유토피아>로 묵직한 한 방을 날렸던 박해천 선생의 새책. 얼핏, ‘주변 누군가들의 이야기를 굳이 디자인연구가가 쓴 픽션을 통해서 읽어야 하나?’ 싶은 생각이 들다가도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보여준 해박함과 집요한 탐구가 떠올라 쉽게 넘길 책이 아니란 자각이 불쑥. 대체 이 나라는 왜 이리 빤히 보이는 어설픈 욕망에 휘둘리는 인간들로 득시글거리게 된 걸까. 개인적인, 사회적인 의문을 풀기 위해서라도 읽어봐야 할 책.
고종석의 책들을 보면서 글쟁이의 꿈을 키우던 시절이 있었다. 뭐, 아직도 절반은 유효하지만 절반쯤은 방기하고 있는 꿈이다. 꿈의 운명이 고종석의 현재 스탠스와 닮았다. 그는 작년인가 올해 초인가, 글쓰기의 영향력에 대한 회의가 든다며 돌연 절필을 선언해버렸다. 절필의 대상에서 단행본은 제외가 되는 건지, 아니면 절필을 번복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오래된 팬의 입장에선 그저 반갑다. 한국사회의 논쟁적인 주제들을 망라하는 그의 거침없으면서도 단단한 문장을 다시 만날 수 있다는 게 기쁘다.
사사키 아타루의 전작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을 읽고 충격에 빠졌던 기억이 생생하다. 어렴풋이 알던 사실을 그냥 얼음물 한 바가지 끼얹듯 싸늘하게 까발리는 데... 아우, 정신이 다 얼얼해질 정도였다. 요약하면 두 가지다. ‘니들은 쓸데없는 책을 너무 많이 읽고 있다. 그거, 다 비슷비슷한 이야기들 반복이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무서운 일이다. 책을 읽고 그대로 행동하고 살지 않으면 읽은 것이 아니다. 이것이 읽기의 혁명이다’. 아, 다시 생각해도 무시무시하다. 그리고 더 알고 싶어졌다. 사사키 아타루라는 이 젊은 학자를. 그의 두 번째 책이 번역되어 나왔고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에서 줄창 언급됐던 그의 박사논문도 번역중이라고 한다. 즐겁게 기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