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감각 - 지극히 인문학적인 수학 이야기
박병하 지음 / 행성B(행성비)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의 감각 박병하 지음/행성B>

 

 

문과적 사고?를 가진 저자(박병하)의 책이 반갑다.

 

<수학의 감각> (행성B,2018)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수학에 매료되어 러시아에서 수학 박사학위를 마친 지은이 박병하의 에세이집이다.

 

수학의 여러가지 에피소드와 요소에서 인문학적 교훈을 주고 있어 문과전공자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책속에서...

 

   

 

<독일의 천재 수학자 가우스 등차수열의 합>

 

 

1+2+3+4+···+97+98+99+100=?

 

 

어린 학생들이 오랫동안 풀길 바랐던 선생님의 소박한 소망은 100를 다 쓰자마자 깨진다.

가우스라는 3학년 꼬마가 5050이라고 답을 말한 것이다.

놀란 선생님이 어떻게 답을 알았느냐고 묻자 가우스는 이렇게 설명했다고 한다.

 

1+2+3+4+···+97+98+99+100에 같은수를 한 번 더 더하고 나중에 더한만큼 덜어냈다고.

 

 

윗칸에 1부터 100까지 나열하고

아랫칸에 100부터 1까지 나열하여 위아래를 더하면 

101100개가 된다.

그럼 10,100/2 로 다시 반을 덜어주면 

5,050

알고나면 너무 간단하지만

어린아이가 한 발 떨어져 문제를 보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재구성했다는 것은 놀랄만한 일이다.

 

 

가우스가 1, 2, 3, , 100의 수들 속으로 들어가지 않고 전체를 한 덩어리로 보았듯이, 일단 문제와 거리를 두고 문제 자체의 틀을 봐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기 방식으로 문제를 바꿔 보며 무엇이든 해 보라. 넘치는 것은 나중에 덜어 내면 되고, 부족한 것이 있다면 채우면 될 일 아닌가. -150p.

 

0은 없으면 안되나?

 

예를 들어 7에서 7을 뺀다고 하자.

결과는 없음이다. 옛날에는 모래판에 계산과정을 쓰곤 했는데 7에서 7을 빼고 나면 모래판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계산 결과를 기록할 수 없다.

지나치게 아무것도 없었던 것이다.

 

 

그런데 아랍인들이 0이라는 기호의 실용성에 주목해 그것을 사용했고, 그들의 계산 기술에 혀를 내두르던 유럽인들이 이를 수용하면서 결국 형식적 결핍은 극복된다.

 

빈자리에 수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0이라고 쓰는 순간 모든 것이 변했다.

 

 

 <형식의 결핍이 내용의 결핍을 깨닫게 한다>

 

 

그렇게 있어야만 하는 것은 그렇게 있어 줘야 한다. 중요한 것은 그래야만 하는가?’라고 묻고 그렇게 했을 때 가장 좋다면 고정관념을 과감히 버리고 그래야만 한다!’고 순응하는 것이다. 0은 말한다. 먼저 그래야만 하나?’를 물어보라. 그리고 그래야만 한다면 그렇게 해야 한다. -62P.

 

 

수학 공식이라면 고개를 푹 숙이게 되는 수포자가 되었지만

수학을 이런 인문학적 통찰과 함께 처음 접했더라면 어땠을까?

 

수학을 더 사랑하지 않았을까?

 

제목 그대로 이 책은

수학을 공식이나 계산이 아닌

<감각적>으로 만나게 해 줄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