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컨드핸드 타임]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세컨드핸드 타임 - 호모 소비에티쿠스의 최후 러시아 현대문학 시리즈 1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지음, 김하은 옮김 / 이야기가있는집 / 2016년 1월
평점 :
품절


나는 사회복지를 전공했다. 전공서적에는 공산주의를 가장 이상적인 상태로 본다. 하지만 그것은 현실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것을 지적한다. 소련이 무너짐과 동시에 사회주의가 무너졌고 자본주의가 등장한다. 과거 사회주의를 경험한 적이 없는 나는 유일하게 사회주의를 실현하고 있는 북한을 보며 질타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들이 보여주는 사회주의는 과거 소련이었던 러시아와는 크게 다른 것인가 궁금했다. 이 책에 나오는 인터뷰 내용들을 보면 일부 공산당원들은 무척이나 그 시절을 그리워하고 있었다. 배급 쿠폰으로 햄과 와인을 소유 할 수 있었던 그들은 이제 사유재산을 소유하고 많은 양의 햄과 와인을 사고 판다. 그 과정에서 빈부격차가 벌어지고 질투와 시기심이 표출된다. 우리는 진정 자본주의를 채택함으로서 자유와 평등을 얻은 것이 맞을까? 무엇이 정의고 무엇이 정의가 아닌지 잘 모르겠다. 아니, 애초에 공평하다는 말이 인간을 대상으로 말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든다.

 

 

 

 

과거 사회주의를 이끌던 몇몇 영웅들은 현대 사회에서 처참히 무시당하고 힐난 받는다. 그 사람들을 지지하는 말을 꺼냈다가는 결코 살가운 대접을 받기가 어려워졌다. 어제 나는 한 식당에서 회식 자리를 가졌다. 20명이 넘는 사람들을 중국에서 온 깡마른 여자 혼자서 그 많은 인원들을 서빙 했다. 사장은 옆에서 답답하다는 눈초리로 이맛살을 찌푸렸고 그 모습을 보니 밥맛이 없어졌다. 사람, 인간으로 태어나 존중받는 인권과 권리라는 것은 절대로 공평하지 않다. 계급이 생겨나고 자본의 소유 지분율에 따라 허리를 숙이고 아첨을 떠는 그런 모습들은 분명 사회주의 시대 살았던 사람들은 원하지 않았을 것이다.

 

 

 

 

자본주의, 민주주의는 결코 녹록치 않다. 하지만 그것을 택하고 자유를 갈망한 것도 결국은 그 당시의 인간들이다. 사람들은 계몽되었고 혁명을 통해 제도를 바꾸어 나갔다. 국가의 통제는 최소한으로 줄이고 시장에 대한 통제를 민간이 함으로서 선의의 경쟁을 바란 것이다. 그러나 선의의 경쟁이라는 것은 금욕적 쾌락 같은 어폐다. 열등감, 시기, 질투를 조성 할 뿐이다. 사회복지학계에서는 스웨덴, 덴마크, 캐나다 등 스칸디나비아반도 혹은 선진 복지국가들을 주목한다.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세금을 상대적으로 많이 거둬들여 공공복지에 예산을 높게 측정하고 있다. 삶의 질과 만족도 설문조사에서 우리나라를 압도한다. 그들의 삶에서 돈은 큰 행복의 조건은 아니었다.

 

 

 

 

어쩌면, 우리의 체제가 다시 한 번 뒤바뀔지 모른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또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 한편으로 두렵기도 하다. 선과 악을 나누듯 공산주의는 악이고 민주주의는 선이라는 흑백논리 같은 편파적인 사고는 건강하지 못하다. 자라는 환경과 여러 문화에 따라 하나의 체계는 또 다른 체계로 갈린다. 우리는 그 속에서 절충된 융합과 통합적인 모습을 지향해야 한다. 동양인과 서양인을 나누는 것이 아닌 하나의 ‘인’ 으로서 존재해야 한다. 과거 사회주의를 옹호하고 지향했던 자들이 쟁취하려 했던 또 다른 의미로서의 자유는 서서히 사라져 갔다. 우리는 단순히 아군과 적군을 나누기보다 서로의 입장에서 진정 원했던 평등과 자유는 어떠했는지 이 책을 통해 조금은 알 수 있게 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