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 좋은 날 - 씨네21 이다혜 기자의 전망 없는 밤을 위한 명랑독서기
이다혜 지음 / 책읽는수요일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책읽기에 관한 책은 언제나 다른 책보다 눈길을 끈다. 독서를 즐기는 이라면 독서와 책에 대한 작가의 관심을 공유하고 싶은 차원일 것이다. 특히나 이런 책들은 읽지않은 책들에 대한 저자의 서평이 적절히 곁들여질 경우 새로운 책들을 자신의 관심영역으로 끌어올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준다. 어떤 책은 구입목록리스트에 책을 감당 못할 정도로 쓸어담아 한동안 어떤 책을 먼저 살까 고민에 잠기게도 한다. 비록 시간이 갈수록 구매확률이 떨어지기도 하지만 말이다. 늘 새로운 책으로 구매리스트는 업데이트 되기 마련이므로, 책은 구입하기로 마음먹었을 때 즉시 실행에 옮기는 게 좋다. 특히 "낡고 오래된 코트를 입을지언정, 새 책을 사는 것을 게을리 하지 말라."고 했던 오스틴 펠프스의 말에 쉽게 자극받는 이라면 말이다.

 

 솔직히 이 책 《책읽기 좋은 날》에서 내가 읽지 않은 책들을 모두 구매리스트에 담았다면 사상 초유의 엄청난 리스트가 만들어졌을 것이다. 그만큼 내가 공유할 수 있는 책을 발견하기 힘들었다. "같은 책을 읽었다는 것은 사람들 사이를 이어주는 끈이다."라고 했던 랄프 에머슨의 말을 빌리자면 이 책의 저자와 나는 이어질 끈이 거의 없었다. 작가는 이 책에서 무려 100여 권의 책을 소개하고 있다. 책을 읽으며 내가 공유할 수 있는 책이 거의 없었다는 건 책에 대한 흥미를 잃을 수 있다는 얘기도 된다. 책에 대한 관심도가 수직하강할 확률이 높았는데도 불구하고 내가 이 책을 끝까지 읽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은 작가의 힘이었다고 밖에 볼 수 없다. 즉 어떤 책에 관한 것인지는 정확히 몰라도 충분히 매력적인 책이라는 얘기가 된다.

 

 늘 책을 읽을 때면 사정없이 줄을 그어대며 읽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 책은 미처 그러질 못했다. 솔직히 어디에 줄을 그어야할 지를 몰랐던 것이다. 그간 읽었던 책들 중에는 다시 읽어야 했던 책이 몇 권 있었다. 꼭 다시 읽고, 저자의 생각에 혹은 저자의 글쓰는 스타일에 익숙해지고 싶은 욕심을 갖게 하는 책들이었다. 이 책이 그랬다. 그런 이유로 줄을 긋지 않았고 대충 줄그은 부분만 다시 보고 넘기는 책으로 분류하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마치 음식에서 영양분을 섭취하듯 씹고 또 씹어보고 싶은 책. 헤르만 헤세는 "독서는 사람이 음식을 먹는 것과 같다."고 했다. 주기적으로 우리 몸을 음식으로 채워야 하듯, 우리 정신은 우리가 필요한 책으로 채워나가야 한다. 그래서 스스로 결핍을 느끼고 있는 부분을 채워줄 책을 만나는 건 대단한 행운이라고 할 수 있다.

 

  '타력(他力)'을 쓴 저자 이츠키히로유키는 책에서 '진정한 플러스 사고는 궁극의 마이너스 사고와 표리일체'라는 표현을 썼다. 어떻게 살 것인가와 같은 중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먼저 현실을 직면하고, 영혼의 대위기를 직시하는 것부터 시작하라고 한다. 그리고 '보고 싶지 않은 현실을, 인정하고 싶지 않은 사실을, 사실적인 눈으로 직시하는 것, 이것이 단념하는 것'이라고 했다. "한 시간 정도 독서를 하면 어떠한 고통도 진정된다."고 했던 몽테스키외의 말은 독서가 현실을 직시할 수 있도록 해주고, 비관적인 현실을 긍정할 수 있는 시각을 갖도록 해 준다는 의미일 것이다. 이 책 역시 매끄럽게만 포장된 우리 일상의 거친 불편함을 들여다 보게 해준다. 세상을 재발견하고 모르는 세상으로 한 발 더 다가가도록 해준다.

 

 저자처럼 책을 많이 읽게 되면 저자처럼 쓸 수 있을까? 독서량이 쌓이고 쌓이면 글쓰기도 말하기에도 변화를 경험한 이들의 스토리를 종종 듣곤한다. 글쓰기 책을 읽고 글쓰기를 배운다거나 말하기 책으로 말하기를 배운다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단순히 한 두 권의 책을 읽고 인생의 변화를 경험하기는 불가능해 보인다. 아나톨 프랑스는 "내가 인생을 안 것은 사람과 접촉했기 때문이 아니라 책과 접촉했기 때문이다." 라고 했다. 책은 인생을 알게하고 인생이 바뀜을 경험하게 해준다. 그런 경험은 상당한 독서 내공이 쌓여야만 가능한 것이다. 단순히 이 책의 저자가 읽은 책을 모두다 섭렵했다고 해서  저자와 같은 글쓰기 실력을 갖출 순 없겠지만 글을 잘 쓰고 싶다면 이보다는 더 많이 읽어야한다는 깨달음과 가열찬 독서에 대한 결심을 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