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공산, 그 짙은 역사와 경승의 향기 문화와 역사를 담다 6
홍종흠.조명래 지음, 강위원 사진 / 민속원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라시대 국가의 제사 대상이 되었던 다섯 산악을 오악이라 한다. 토함산(동악), 계룡산(서악),지리산(남악), 태백산(북악)이 동서남북에 포진하고 그 중앙에 팔공산(중악)이 아버지산(부악)으로 중심을 잡고 있다. 그런데 양적으로 방대하고 질적으로도 뛰어난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빼어난 경승을 안고 있는 산맥과 같은 스케일의 팔공산만이 오악 중에서 유일하게 국립공원에서 제외되어 있다. 소위 TK라고 칭해지는 대구·경북 지방이 대통령을 여럿 배출했다는 허망한 자부심에 취해 자기 향토의 소중한 보물을 너무 등한시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때가 많았다.

 

그런 팔공산의 방대한 문화와 역사, 빼어난 경관과 희귀한 생태자원의 진면목을 밝힌 책을 반가운 마음으로 접했다.  평소 팔공산에 관심이 많아 이미 발간된 책들을 거의 다 보았지만 뭔가 마음에 차지 않은 점이 많았다. 대부분이 현상나열식으로 서술했거나 지명과 지리를 중심으로 엮은 것이어서 팔공산의 표면과 이면에 깃들어 있는 진상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고 있었다. 이 책의 저자들은 팔공산의 역사자료와 고문헌을 상세하게 섭렵하고 현장을 답사해서 팔공산의 전모를 깊이 있게 보여 주었다. 문화유산과 경승의 디테일이 꼼꼼하게 기술되어 있고 그 디테일들이 덩어리를 이루면서 전체를 조망할 수 있게 했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을 읽으면서 모르고 있었던 사실을 많이 알게 되었다. 예를 들면 유명한 갓바위 부처의 머리 위에 얹혀 있는 있는 판석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을 위시한 해설들에서는 자연석으로 기술되어 있어 그렇게 알고 있었는데 이 책의 저자는 팔각의 판석에 3단의 문양을 새겼는데 중앙에 둥근 보주 형태의 문양이 있고 그 주위에 구름무늬를 장식한 보개(寶蓋)라고 하였다. 새로운 것을 알았고 다른 곳에서도 보이는 이런 정확한 디테일의 기술이 이 책의 미덕이라고 생각되었다.    

    

 

머리 위에 판석을 이고 있는 갓바위 부처

 

또 불교의 유적만 있는 줄 알았는데 팔공산 자락의 한티마을에는 한말 천주교 박해 당시 숱한 순교자가 나왔고 유적들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어 천주교의 성지가 되어 있다고 했다. 이 책을 보고 처음 알은 사실이다. 팔공산은 불교와 천주교의 성지일 뿐만 아니라 조선 왕들이 원찰을 지어 지금도 숱한 유물을 간직하고 있고 왕의 태실이 2개소나 간직되어 조선 왕들이 성산으로 대접하였다는 사실도 상세하게 밝혀 놓았다. 문장이 정확하고 문체가 유려해서 막힘없이 읽힌다.

 

이 책의 또 다른 강점은 압도적인 수량의 사진 자료들이 수록되어 있다는 것이다. 무려 360여 점의 사진이 실렸는데 흔히 보는 삽도 수준의 질을 능가하는 좋은 이미지들이 빛을 발한다. 사진 전문가가 촬영한 '작품' 수준의 사진이라 그런 것이리라. 본문의 왠만한 사항들은 다 사진으로 나와 있어 글을 읽으면서 이미지들을 볼 수 있으니 실물을 앞에서 보는 듯한 느낌이 든다. 구태여 단점을 말한다면  책 가격이 조금 부담이 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좋은 내용과 전부 칼라로 된 방대한 사진들을 접하면 그만한 가치를 인정하리라고 본다.

 

이 책에 실려 있는 '작품' 수준의 사진들을 몆 점 감상하기로 한다. 전부 강위원이 찍었다.     

 

 

팔공산의 파노라마

 

 

 

묘봉암에서 바라본 팔공산의 운해. 뒤로 영천과 보현산이 보인다.

 

 

 

부계에서 바라본 팔공산. 능수벗꽃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천왕봉 아래의 알바위. 뒤로 팔공 연봉이 도열하고 있다.

 

 

 

북지장사 입구의 송림.

 

 

 

김유신 장군이 수련하였다는 중악 석굴 위에서 서식하는 만년송.

 

 

 

가마 바위의 노송. 바위를 뚫고 나온 듯 힘찬 모습으로 팔공의 봉우리들을 아우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