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비용 제로 사회 - 사물인터넷과 공유경제의 부상
제러미 리프킨 지음, 안진환 옮김 / 민음사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향후 자본주의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에 관하여 매우 흥미로운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즉 인터넷, 태양열 등 재생에너지, 3D프린팅에 바탕을 둔 prosumer 확산, 온라인강의 확산 등으로 한계비용 zero 현상이 확산됨으로써 자본주의가 점차 협력적 공유사회에 자리를 내주게 된다는 것이다. 광범위한 자료를 망라하여 얻을 게 많은 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주장에는 한가지 중대한 문제에 관하여 너무 피상적으로 접근하여 책이 큰 오점을 가지고 있다. 중대한 문제란 다름아닌 한계비용 제로가 마치 가격 제로인 것처럼 주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계비용 제로현상이 보편화될 것이라 하는데 이에 따라 가격까지 제로가 되겠느냐는 것입니다. MC가 제로이더라도 고정비와 이를 회수하는 문제를 고려하면 기존의 MC=MR인 공급량 수준에 부합하는 수요곡선상의 점에서 가격결정이 이루어져 가격=0는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한계비용=0=가격에 바탕을 둔 상기 책의 논리는 문제가 많습니다. 가격이 꾸준히 내려가는 것은 맞으나 그렇다고 시장경제에 바탕을 둔 자본주의는 점차 사라지고 공유사회가 보편화된다는 것은 시장경제를 지나치게 과소평가한 게 아닌가 합니다. 공유경제도 결국은 자본주의 바탕위에서 존립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따라서 자본주의가 점차 협력적 공유사회로 전환된다는 주장은 시장경제에 바탕을 둔 자본주의를 지나치게 과소평가한 것으로 볼 수 밖에 없습니다. 이 점이 이 책을 읽을 때 꼭 염두에 두어야 할 포인트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미래에 협력적 공유사회요소가 확산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한 듯하며 관련 자료를 광범위하게 망라하고 있어 충분히 읽을 만한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멸의 의식 - 한국 슈리 라마나 프라사담 오픈 기념 출판물
라마나 마하리쉬 지음, 김병채 옮김 / 슈리크리슈나다스아쉬람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마나 마하리쉬의 다른 책, '나는 누구인가?', '있는 그대로(앞 책 '나는 누구인가'의 최근 복사판)' 를 읽고 평소 궁금했던 점을 재음미하게 되어 이번 책 '불멸의 의식'을 보게 되었는데 내용이 앞선 책과 다른 게 전혀 없으며 중복이 극히 심하고 주제도 각 장 간에 다른 게 전혀 없으며 몹시 지루하여 어떻게 이런 책이 나올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완전 독자를 우롱하는 게 아닌가 한다. 그리고 라마나 마하리쉬의 나체 가까운 사진이 각 장 앞부분에 나오는 것도 여태껏 그에 대한 존경심을 시들게 하고 그에 대한 모독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
에크하르트 톨레 지음, 류시화 옮김 / 연금술사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 성경을 접할 때마다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많았는데 이 책을 통하여 '아 이런 해석도 가능하구나'하고 이해를 넓히게 되었다. 성경이 독특한 면도 있지만 영성에 관한 한 불교나 힌두교 등 타 종교에서의 근본 교리와 공통된 부분이 매우 많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 그러나 책의 주 내용 중 하나인 영성에 관해서는 이해하기가 어려워 책을 읽는 내내 고심을 하면서 반복해서 읽어 보았다. 영성문제는 언어로 표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번역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 같다  따라서 이 책은 일반 번역가에게 맡기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다행히 영성문제에 많은 식견과 경험을 쌓은 류시화 시인이 번역하여 원 작가의 의도가 충실히 반영된 것 같다. 더우기 과거 번역한 것을 완전 재번역했다니 안심하고 읽어도 되지 않겠나 싶다. 다만 한가지, 책을 읽으면서 계속 의문이 가는 부분이 있었다. 즉, 우리의 실체를 한편에서는 무, 없음, 공간, 형상 없는 차원을로 표현하면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Being(순수한 있음), I Am, 스스로 존재하는 자, 현존 등으로 실체가 있는 것으로 표현하여 혼란스러웠다. 무, 공간은 실체가 없는 것인데 무슨 순수한 있음, 빛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겠나 하는 의문이 끊임 없이 일었다. 물론 불교에서 '무'란 단순히 있다/없다에서의 상대적 무가 아니라 분별심이 완전히 끊긴 경계를 의미하는 절대무를 의미한다는 얘기는 들었으나 그런 부분에 관한 고려 없이 영어 원문에만 충실하여 단순히 무 또는 공간으로 이해해서는 안될 것 같다. 그래서 영어 원문을 대조해보니 없음은 no-thingless를, 공간은 space를, 형상 없는 차원은 formless dimension, 실체도 reality로 되어 있었다. 번역자의 고충은 충분히 이해가 갔다. 그래서 이들 문제에 관해서는 다른 영성에 관한 책을 곁들여 권한다. 예를 들어 라마나 마하리쉬의 '나는 무엇인가', '있는 그대로'(내용은 앞 책과 완전히 동일)을 읽어보면 도움이 될 듯하다. 우리의 실체는 단순한 무, 공간이 아니라 실체가 있는 순수한 있음, 참자아, 스스로 있는 자라 한다. 이는 불교나 기독교에서도 공통으로 신봉하는 내용이다. 주류 현대과학자 특히 뇌과학자들은 영성이란 단순히 의식의 문제로서 죽으면 사라지는 것으로 보고 있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