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고전을 어렵다고 생각한다. 혹자는 고전의 정의를, "제목만 몇 수십번을 들어서 나중에는 읽지 않고도 읽었다고 착각하는 책들의 목록"이라고 농담처럼 말하기도 한다. 고전은 딱딱하고, 재미없고, 도통 무슨 말인지 모를 케케묵은 먼지투성이로 치부해버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나 고전이 고전이 된 이유는 시대가 지나도 변치 않는 어떤 요긴한 것을 우리에게 넌지시 일러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고전을 한 번쯤 내 식으로 읽어 보는 것은 어떨까. 지금, 여기에서 의미를 갖게 말이다. 다시 그들에게 생기를 불어 넣는 일은 고고학자처럼 섬세한 손길을 요구하지만, 그 결과는 오래 묵은 장맛으로 담근 김치처럼 감칠맛난다.

<강의>에는 어렸을 때부터 출처도 모른채 마치 어머님이나 아버님이 들려주시는 옛 이야기처럼 어렴풋이 알아온 동양 사상의 여러 유파들-유가, 도가, 법가, 음양가, 묵가 등-이 쉽고 재미있게 설명되어 있다.  흔히 설교조의 말을 "공자왈 맹자왈" 이라며 무조건 어려운 것으로 치부해 버리는 사람들에게 꼭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다. 

특히 유교사상이라고 하면 고루하고 여성들의 자유를 묵살하던 일부 보수적인 유생들을 떠올리기 십상인데, 공자의 사상이 활달하고 평이하면서도 인간적이라는 새로운 발견을 하게 된다는 점이 이 글의 특징이기도 하다. 공자는 키가 크고 덩치가 좋았으며 호탕했다. 그는 음악에 조예가 깊었으며 백성들이 약간의 쌀만 수업료로 내도 귀천을 가리지 않고 제자로 받아주었다.  일언이폐지, 가정맹어호, 학이시습지면 불역열호아 같은 친숙한 성어들이 다 공자의 입에서 나온 말이라니 더욱 정감이 갔다. 그는 사람의 일을 생각했으며 세상을 주유하며 자신의 정치관이 반영되기를 꿈꾸었다. 공자가 천명한 仁에서도 우리는 사람이 두 명 이상 모여 이루는, 정말 사람답게 살아가는 사회를 떠올리게 된다.

또 동양사상에서 내 마음을 이끈 것은 도가의 노자와 장자이다. 그들은 결코 인습에 얽매이지 않았으며 세상을 상대적인 개념에서 바라보았다.  노자는 부드럽고 여성적인 것, 온유하고 융통성 있는 갈대 같은 존재가 이 세계를 구원할 것이라고 보았다. 세력다툼이 치열했던 춘추전국시대에 그런 기발하고 창의적인 발상이 나올 수 있었다는 사실 자체가 감탄을 자아냈다. 노자의 도덕경은 단 1500여자로 되어 있지만 그 해석은 너무나도 다양하고 폭넓어 그 원본에 따른 텍스트가 무궁무진하게 피어 날 수 있다는 이야기도 수긍이 갔다. 그를 이해하는데 있어 중심이 되는 두 가지 열쇠는 도(道)와 덕(德)이다. 도(道)는 천지만물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리이다.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 이라는 표현에서도 알 수 있듯 동양인들에게 길과 도는 결코 다른 것이 아니며 이는 생활 속에서도 자연스레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그리고 덕(德)은 도에 따라 체현된 어떤 현실적인 발현체이다. 노자의 이상세계는 소국과민의 대안공동체였다. 나라는 작지만 백성은 적지만 너무나 넉넉하고 평화로운 그 곳은 백범 김구 선생님이 그리셨던, '우리나라가 세상에서 강한 나라가 아니라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길 원한다'고 하신 것과 맞닿은 듯 했다.  

장자의 우화들은 동화의 한 장면을 보는 듯, 판타지 소설을 보는 듯 이미지가 절로 떠오르는 환상적인 느낌을 주는데 이러한 알레고리 속에서 직접 이야기 하려는 것은 정작 말하지 않는 여백의 미덕을 갖추고 있다. 대붕과 참새의 비유, 오리 다리가 짧다고 늘리지 말고 학의 다리가 길다고 자르지 말라는 잠언,  장주가 나비인지 나비가 장주인지 모르는 호접몽의 고사 등을 통해 우리가 그동안 얼마나 사고가 경직되어 있는지를 스스로 깨닫게 해주는 <장자>는 스스로 그러한, 자연 그 자체가 내게 다가오는 느낌을 준다. 장자에게 있어 절대적인 것이란 없다. 이러한 사고의 유연성은 자칫 허무주의나 극단적 상대주의로 빠질 위험성도 있다고 하나 결국 어떻게 장자를 읽느냐에 따라 그 가치는 논해져야 할 것이다. 유교의 형식적일 수도 있는 도덕담론과 좋은 대조를 이루는, 매혹적인 글쓰기로 인해 <장자>는 많은 글에서 인용되며 풍부한 문학적 함의를 내포하고 지금까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전공이 중어중문학과인 나에게 있어 이 책은 그 의미가 더욱 깊다. <강의>는 제자강독이나 동양정치사상 등의 수업에서 주요 교재로 활용이 되고 있으며 무엇보다 나만의 고전 독법이라는 방식이 마음에 들었다. 다른 이들의 사상을 내 것을 꼭꼭 씹어 소화시켜 써내려가는 글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새삼 느꼈다. 현실 속에서 빛을 발하는 고전의 참된 모습을 보는 것 같아, 행복한 책읽기 시간이 되었다. <마지막 수업>처럼, <강의>의 책장도 비록 끝이 나지만 되새겨볼만한 구절에 그어진 밑줄은 손때를 입고 다시 들춰보게 하는 힘을 얻게 될 것이다.

강의의 講 자는 본래 '익힌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강의를 통해 배운 것을 익혀, 내 것으로 다시 써내려가는 과정이 내가 고전을 사랑하는 또 다른 길임을 알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