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용서하지 못하는 나에게 - 내가 내 편이 아닌데 누가 내 편이 되어줄까?
네모토 히로유키 지음, 이정은 옮김 / 홍익 / 201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내 탓이오,내 탓이오 하는 얘기를

심심찮게 들을 수 있다.

종교에서도 저렇게 이야기를

하지 않던가. 내 탓이오, 내 탓이오.

어떠한 상황에 닥치게 되었을 때

문제를 자신의 탓으로 돌리는 것이

바로 자책감이다.

자신의 결함이나 잘못에 대하여 깊이 뉘우치고 자신을 책망하는 마음.

이것이 바로 자책감의 사전적 의미이지만

"내가 자꾸 상처를 주니 애인과 만나서는

안 될 것 같다."

"엄마의 화를 풀어주기 위해 노력했지만

화는 풀리지 않았고 모든 것이

내 탓인 것 같다."

"이번 프로젝트가 실패한 이유는

내가 열심히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금전적으로 여유가 있는 상황이지만

남들에게 우리 집안 이야기를 하면

눈치를 보고 그들의 기분을 상하게 하니

이런 얘기를 할 수가 없다."

등등이 모두 자책감에 속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감정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 걸까?




' 자책감 '


우리의 의식은 두 종류로 나뉜다.

내가 인지할 수 있는 현재 의식과

여기 밑에 깔려 있는, 그래서

쉽게 인지할 수 없는 잠재의식으로 말이다.

그리고 이 잠재 의식에 깔려 있는

감정이 우리의 현재 의식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의식에 어떤 것이

깔려 있는지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 잠재 의식에 자책감이

쌓여 있다면 그것은 분명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장 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나는 행복해져서는 안 돼

들 수 있겠다. 왜냐하면 이 자책감은

내 자신이 행복해지는 것을

두고 보고 있지만은 않기 때문이다.

만약 사람에게서 자책감이라는

감정을 없앤다면 이유 없이 행복하게

지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을 하는

심리학자가 있을 정도로

우리 삶의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바로 이 감정이다.

어디에 있든 인간 관계가 잘 풀리지 않고

자신은 행복해서는 안 될 것 같고

연인과 항상 다퉈서 피곤하고

아이에게 걸핏하면 화를 내서

좋은 엄마가 될 수 없을 것 같다거나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싶지만

가까워지면 멀어져야 할 것 같은 기분이

드는 사람들이라면 꼭 이 책을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자신이 왜 그런 생각을 하게 된 것인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을 보면 우리는 쉽게

이런 감정을 느끼지 않나 싶다.

사업을 하고 있을 때 사업이 잘 되지

않아 직원들의 월급을 잘 챙겨주지 못할 때,

회사에서 중요한 프로젝트를 맡았는데

이것을 해결하기가 힘이 들 때,

친한 선배나 후배가 힘들어 할 때

도와주지 못해 미안할 수도 있고,

부모님이 힘들어하는 상황을 보면서

이것을 자신의 탓으로 돌리는 아이도 있다.

아이에게 잘해줘야 한다는 관념이 강한 사람이라면 이러저러한 사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이에게 화라도 내게 되면 심한 자책감을 느끼며 '이런 엄마가 되기 싫다. 나는 자격이 없다!'라면서 자신을 질책하게 됩니다.

p.74

이러한 자책감이 커지게 된다면,

부모님이나, 아내나 남편에게

미안한 마음이 커지면 커질 수록

오히려 자신을 나쁜 사람으로 몰기 싫어

정당화를 하게 되고 그 결과

타인에게 화를 내거나

그의 탓으로 돌리는 상황 또한

발생하게 된다.




'자책감과 자기 중심'


이 책에서 또 하나 중심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이 바로 사고를 자기 중심적으로

하라는 이야기였다.

쉽게 말하자면 어떠한 일이 터졌을 때

그 문제의 원인을 다른 데로 돌리지 말고

나에게서 찾아보자는 이야기다.

아니, 그러면 그것과 자책감이 뭐가

다른 거지?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자기 중심적인 사고와

자책감은 엄연히 결이 다르다.

이런 생각에는 상사나 남편이 나쁘고 부족하기 때문에 그들이 바뀌지 않으면 안 된다는 인식이 있기 마련이라 자신은 바뀌지 않아도 된다는 전제가 깔려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문제는 다름 아닌 자기 자신에게 있습니다. 이를 알아차리는 게 중요합니다. 회사도, 상사도, 남편도, 애인도, 모두들 나에게 문제가 있음을 알아차리도록 스위치를 눌러주는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고생각해야 합니다.

p.122

어떠한 일이 생겼을 때

그 사람의 탓으로 돌리거나 상황에

문제를 제기하게 되면 나는 수동적으로

삶에 임하게 된다.

내 시간을 살아가는 것은

나이므로 결국 내 삶의 주체 또한

내가 되어야 하지만 이렇게

사고를 나가 아닌 타인의 중심으로

보게 되면 수동적인 삶을 살 수밖에

없게 된다는 것이다.

책에서 든 예로는 회사가 힘들어지게

되면서 일을 그만둬야 하자

이런 저런 일을 구할 수도 없고

변변찮은 자격증 하나 없는데

뭘 할 수 있단 말인가, 이렇게

갑자기 해고를 해도 되는가

생각하는 사람과

창업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이번 기회에

도전을 해보라는 이야기인가 보다.

라고 생각을 하는 사람을

비교하게 된다.

자기 주도적인 삶을 살게 되면

그래서 모든 문제의 중심에는 내가 있고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도

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면

오히려 자책감이라는 덩어리가

끼어들 틈이 없다는 이야기다.


사람 사이의 관계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서는 무조건 내 탓이다 하는 것도

무조건 당신의 탓이라고 미루기 보단

이 문제가 왜 불거졌으며 나는

어떻게 행동했는지를 찬찬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부모와 자식의 관계에서도

자책감이 주는 영향은 상당하다.

부모의 얼굴 하나 하나에 신경을 쓰는

아이들은 부모를 완벽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조금만 얼굴색이 좋지 않아도

내가 잘못해서 그런 걸까? 하는 생각이 든다.

내가 엄마의 말에 휘둘리고

그 말에 대들지 못하면서도 자꾸

떨어지려고 안간힘을 썼던 것 또한

자책감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에는 저렇게까지 내 탓을 하는

사람이 있을까? 하며 읽었지만

결국 나의 이야기였고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야기들이었다.

내가 행복해져선 안 된다,

또는 나는 벌을 받아 마땅하다

생각을 하고 있었다면

굳이 그렇게까지 생각을 하지 않아도

관계에 있어 문제가 트러블이

불거지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통해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