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작품을 예로 들자면,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치히로는처음에 터널 안으로 들어갈 때와 나중에 나올 때가 완전히 똑같습니다. 어머니의 손에 달라붙어서 두려워하는 얼굴을 하고 걷는 모습이 그렇습니다. 그것을 보고 전혀 성장하지 않은 거 아니냐고 하는 비평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부모가 아무리 의지할 만하지 않아도, 보통 초등학생이 부모에게서 떨어져서 온전히 자립하는 것은불가능한 일입니다.
때가 될 때까지 아이는 부모의 보호 아래에 있어야 합니다. 서둘러서 성장할 필요는 없는 겁니다. 빨리 성장해야 한다고 주장하는것은 단지 부모에 대한 불신에 지나지 않습니다.- P100
일본의 영화계에서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작품을 ‘쟈리모노(1), 유아물)‘라고 했었습니다. 이때 입장료를 내는 것은 어른이므로, 유아물은 주로 어른들에게 지명도가 높은 명작, 예를 들어 집 없는 아이』 같은 것들이 선호되었지요. 그런 작품에다가 작은 동물이 ‘미끄러지고, 넘어지는 어린이용 웃기기 장면을 추가하여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것을 만들면 된다고 하는 발상이 누름돌같이 우리 머리 위에 얹혀 있었습니다.
나는 이런 유아물류의 발상이 싫었습니다. 하지만 당시 내게는
"오리지널로 만들게 해 달라."라고 말할 만큼의 자신감이 없었습니다.- P106
간단히 말해서 아동문학이란 "어떻게 해도 안 돼, 이것이 인간이라는 존재야."라는 엄격하고 비판적인 문학과는 달리, "태어나길 잘했구나."라고 말하는 문학입니다. 살아 있길 잘했구나, 살아도돼, 하는 식으로 아이들에게 응원을 보내는 것이 아동문학이 태어난 기본적인 계기라고 생각합니다.- P163
‘아이들을 향해 절망을 말하지 마라‘는 겁니다. 아이들 앞에 섰을때, 우리는 그런 입장이 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보통 때 아무리 니힐리즘과 데카당스로 넘치는 이야기를 떠들어댔어도, 눈앞에 아이가 있을 때는, ‘이 아이가 태어난 것을 소용없다고 말하고 싶지 않다‘는 마음이 강하게 일어나는 법입니다.- P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