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weekly님의 서재
  • Whanki in New York : 김환기의 뉴욕일기
  • 김환기
  • 25,000원 (750)
  • 2019-12-25
  • : 2,989

인생의 마지막 10년 여를 뉴욕에서 화가로서 고투하다 타계한 김환기의 일기. 생각보다 일기가 두툼하지는 않다. 생전에 그가 세계 미술 시장에서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했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에, 그의 일기는 안스러움, 혹은 안타까움 속에서 읽힌다. 화가는 무엇보다도 육체 노동자라는 말도 실감하게 된다. 미국에 건너간 시점에서 이미 그는 자신만의 확고한 스타일을 갖고 있는 베테랑 화가였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미국의 시장이나 평단을 뚫어내기에 역부족이었던 것 같다. 어떤 것이 더 필요한가? 이런 모색과 고민, 고투가 일기 전체의 기조를 구성한다. 그리고 김환기가 내린 결론은 당대성에 더 적극적으로 자신을 합류시키자는 것이었던 것 같다. 내 생각에 이는 올바른 결정이었다. 여기서 이 당대성이라는 말은 참 애매하다. 당대성을 (미국이나 서구의) 시대가 포착하고자 하는 어떤 사상을 둘러싼 지성적 논쟁점이라고 해보자. 그러면 그 대척점에는, 김환기 자신의 지역성(로컬리티, 즉 한국적인 것)이 있게 된다. 즉, 당대성에 합류하기 위해서는 지역성은 최소한으로, 배경으로만 머물러야 한다는 것이다. 작품이 그 당대의 주류의 언어와 사고, 논리로 표현될 수 있어야 한다. 혹은 그런 언어, 사고, 논리를 창안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말은 틀린 말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나는 이 말을 철저하게 반박하고 싶다. 세계적 고민 속에서 운동하는 것만이 세계적이다. 만일 한국적인 어떤 것이 그러한 고민을 형상화하고, 거기에 일정한 빛을 던져주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면, 그런 한에서만 그 한국적인 것은 세계적인 것에 속하게 될 것이다. 내 생각에 김환기는 이러한 점을 천천히 깨달아갔던 것 같다. 그리고 그 근방 어느 시점에서 그의 육체는 그의 고투를 더 이상 버텨내지 못하게 된 것 같다. 예술이든 삶이든 무엇이든 무엇을 완결짓는다는 것에는 형식적인 의미 밖에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갑작스러운 그의 죽음이 그의 예술적 고투의 최종적 형상화를 방해했다는, 그런 아쉬움을 들게 하지는 않는다. 그보다 그는, 오전에 일하고 오후에 죽는 것과 같은 이상적 죽음을 취한 또 한 명의 예술가로, 즉 진정한 예술가로 내게 기억될 것이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