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2381511375789.gif)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2381511375792.gif)
같은 맥락에서 보자면 (<나의 아름다운 정원>과) 미야자키 하야오 역시 아름다운 것이 무엇인가를 늘 고민한다.
어떤 작품에서는 자연이었고, 어떤 작품에서는 평화, 어떤 작품에서는 헌신과 용기 같은 것들이었다. 그러나 심윤경 작가와 약간 다른 점은 아직까지 그가 말하는 아름다움을 구현하는 존재는 늘 여성이었다는 점이다. 이번 작품에서도 여성, 특히 나이든 할머니가 미야자키 하야오의 아름다움을 대변한다. 쭈글한 손에 굽은 등을 가진 한 할머니의 힘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무려 두 사람의 마법에서 풀려나게 해주고, 심술맞은 마녀를 유순한 노인네로 바꿔 놓았을 뿐만 아니라, 큰 마법사의 노여움을 풀고 강아지를 기쁘게 해줄 정도다.
영화는 재미있었다. 매력적인 캐릭터가 많이 등장했고 - 특히 초절정 울트라 꽃미남의 등장이란. ^o^; - 유쾌한 유머는 내내 계속되었다. 한때 미야자키 하야오는 <모노노케 히메>를 만들고 필생의 역작을 완성했다며 더 이상 작품을 만들지 않겠다고 선언했다는데, 부디 그러지 말아주길 바란다. 신비한 샘과 같은 그 상상력이 고갈되려면 아직 많이 남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