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 끝의 사람들 | 원제 Mundo del fin del mundo (1989)
루이스 세풀베다 Luis Sepúlveda (지은이), 정창 (옮긴이) | 열린책들
정 가 : 7,500원 | ISBN(13) : 9788932905037
출간일 : 2003-08-10 | 양장본 | 200쪽 | 196*130mm
출간일과 서지 정보가 좀 이상하다. 내가 가진 책은 2003년 5월 30일 초판 1쇄로 발행되었고, 160쪽에 본문이 끝나고 판권 면까지 합쳐 161쪽으로 되어 있다. 출판사에서 석 달도 안 되어 200쪽짜리로 다시 편집해 냈단 말인가? -.-
7년 전에 시아 출판사에서 [세상 끝으로의 항해]란 제목으로 나온 것(1995년 11월 15일 펴냄)을 읽었더랬는데, 루이스 세풀베다의 책을 모두 가지고 싶은 욕심에 열린책들에서 새로 번역 출간한 것도 사서 앞부분을 비교하니, 두 책의 번역이 너무 달라 다시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아 출판사 쪽 번역은 번역가가 잘 모르는 부분은 제대로 옮기지 않고 그냥 넘어가 버린 듯하다;;;
오랜만에 다시 읽다 보니, 아, 그동안 이 책의 느낌만 막연히 기억하고, 뒷부분의 아름다운 장면은 몽땅 까먹고 있었다는 것을 알았다. 원래 [연애소설을 읽는 노인](예하 출판사에서 1993년 4월 30일 펴낸 것)을 읽고 루이스 세풀베다의 팬이 된 뒤 두 번째로 읽은 책인데, [연애소설을 읽는 노인]이 워낙 좋았던 탓에 좀 실망스러웠더랬다. 사실 지금까지 읽은 세풀베다 작품 중에 [연애소설을 읽는 노인]만 한 것이 아직 없다. 그렇지만 오랜만에 다시 읽어 보니, 실망할 만큼은 아니었다. 야만스런 일본 국적 포경선이 그냥 ‘일본인들’로 표현되는 것에 약간 거부감이 들었지만(포경선과 포경 산업이 나쁘지 모든 일본인이 나쁜 건 아니잖아), 파타고니아 남쪽 남극 바다의 서늘한 기운과 자연에 대한 믿음이 아름다웠다. 하지만 그 ‘자연에 대한 믿음’이란 것도 인간의 일방적인 희망은 아닌지...
나의 동족들은 예부터 고래들을 자기 자신을 지킬 줄은 모르지만 남에게는 동정을 베푸는 유일한 동물로 여겼소.(151쪽)
자기 자신은 지킬 줄 모르지만 남에게는 동정을 베푸는 동물이라니. 자기 자신을 지킨다는 이유로 남을 해치다가 결국 자기 생존마저 위협하게 된 인간과는 정반대로구나. 눈물겹다.
그렇잖아도 공간 감각이 떨어지는데, 수많은 섬과 협곡으로 이루어진 칠레 남쪽 바다의 복잡한 항해로를 묘사하는 부분은, 참 이해하기 어려웠다. ㅠ.ㅠ 나에게 푸에르토몬트에서 티에라델푸에고에 이르는 바다의 모든 섬과 항구가 나와 있는 지도를 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