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knows why people are different?
We are born with a certain nature, I think.
And then the world takes its swings at us. (39)
타고난 본성, 이게 어느 정도의 영향을 발휘하는지, 그건 예순이 지날 무렵, 정확히는 여든이 넘고 아흔이 넘어 아직까지 내 곁에 있는 이들을 바라볼 때, 행운이 작용할 때를 제외하고 불행이 닥쳤을 때 그들이 어떤 식으로 그 불행의 산고비와 파도를 넘어 현재에 다다르고 있는지 그 모습을 마주할 적마다. 일흔 다섯의 노년 여성들 다섯 명의 일상을 비교해볼 적마다 이때도 알게 된다. 타고난 본성의 영향력. 이걸 살아가면서 어떤 식으로 강화하는지 혹은 그에 맞춰 살아가는지. 아침 간단하게 먹고 에스프레소 마시면서 마주한 구절. 확 눈에 들어오길래. 자기검열 유난스럽다 할 정도로 안 되는 인간, 이라는 구남편의 목소리가 들리기도 하는듯. 근데 이게 내게는 필요 없다는 걸 알았다. 17년 같이 살아온 세월이 헛된 건 아니지만 나를 가장 잘 알면서도 나를 가장 모르는 인간 중의 하나. 물론 나도 그에게 그런 사람 중의 하나. 시간이 흐르는 동안 앞으로 몇 번이나 그를 보게 될까 싶기는 하지만 감정의 찌꺼기가 전혀 남아있지 않은 걸 보면 앞으로 종종 보기도 할 거 같고. 다시 돌아가서, 타고난 본성대로 살아가고 그에 맞춰 적절한 반격을 가하면서 살아간다면 좋을 텐데. 언제나 나보다 더 앞서 살아가는 이들의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그들이야말로 내 스승은 스승이다 싶다. 아 저렇게 절대 살지 말아야 함, 이라고 몇몇 언니들을 보면서 또 여러 가지를 느꼈기에.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 소설 보면 막장도 정말 이런 막장이 없다 싶은 드라마인데 그저 막장이기만 한 것은 아니야, 이 절제된 품격이라니. 의도치 않게 또 한 커플의 불륜 소식을 접했다. 웃긴 건 남자가 우리가 하는 건 폴리아모리야, 라고 주장한다는 점. 그냥 여기나 저기나 다 폴리아모리 투성이로군. 판단의 잣대로 재지 않고 소송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를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