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가기
검색
비코드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나의 계정
주문조회
보관함
0
알림
추천마법사
베스트셀러
새로나온책
굿즈총집합
분야별 보기
이벤트
중고매장 찾기
매입가 조회
알라딘에 팔기
회원에게 팔기
국내도서
전자책
외국도서
온라인중고
우주점
커피
음반
블루레이
알라딘 굿즈
자동슬라이드 멈춤
북펀드
오디오북
고객센터
알라디너TV
알라딘 서재
북플
소셜 속 알라딘
신간 소식과 다양한 이벤트 정보를 받아볼 수 있어요
알림센터
장바구니
메뉴 전체보기
검색
김 기자의 책 읽기
글보기
서재 브리핑
방명록
닫기
공유하기
URL 복사
가라타니 고진의 고차원적 회복
리뷰
[힘과 교환양식]
sean | 2023-11-16 06:24
치열하고 친절한
리뷰
[세계사의 구조]
sean | 2023-11-11 13:49
무한한 영감을 주는 책. 결코 과장이 아니다. 잊혀진 중동태라는 세계, 그러나 지금도 공속하고 있는 이 중동태라는 세계는 미래 철학의 원천이 될 것이 틀림 없다. 감탄하며 읽었다.
100자평
[중동태의 세계]
sean | 2023-11-04 02:11
정교하고 과감한
리뷰
[주체성과 타자성]
sean | 2023-10-17 15:26
그 자체로 뛰어난 입문서. 특히 난해한 연구서를 읽다가 지칠 때, 내가 이해한 스피노자의 개념이나 개념 연관이 맞나 확인하고 싶을 때 언제나 훌륭한 벗이 되어주는 책.
100자평
[고요한 폭풍, 스피노..]
sean | 2023-07-27 01:44
니체와 프로이트의 관계를 탐구한 연구서. 정신분석가 이창재 박사의 ‘정신분석과 철학‘과 함께 보면 좋을 책.
100자평
[니체와 정신분석학]
sean | 2023-07-17 00:22
솔직하고 진지하다. 그래서 재미있고 유익하다. 평소 궁금했던 프로이트와 니체의 학문적 관계에 대해 많은 것을 얻었다.
100자평
[정신분석과 철학]
sean | 2023-07-09 15:18
들뢰즈 철학의 주름, 펼치기와 접기
리뷰
[들뢰즈, 괴물의 사유]
sean | 2023-01-12 02:34
하나의 책, 세 가지 읽기
리뷰
[차이와 타자]
sean | 2022-12-29 14:51
사건의 철학
리뷰
[사건의 철학]
sean | 2022-12-29 01:45
들뢰즈의 미/분화 철학을 미/분화하기
리뷰
[들뢰즈, 초월론적 경..]
sean | 2022-12-29 01:19
들뢰즈의 ‘니체와 철학‘에 대한 최상의 해설서. 박찬국 교수 특유의 차분함과 친절함, 명료함을 통해 들뢰즈의 니체를 일목요연하게 일별할 수 있다.
100자평
[들뢰즈의 니체와 철학..]
sean | 2022-12-24 13:19
비교의 항해술
리뷰
[비교의 항해술]
sean | 2022-11-03 14:44
의식은 각 단계에서 그 다음 단계로 왜 이행할 수 밖에 없는지 그 '필연성'(헤겔적 관점에서의 필연성)을 아주 명료하게 그려보이고 있다. 한자경 선생의 ‘정신현상학의 이해‘와 강순전 선생의 ‘정신현상학의 이념‘ ..
100자평
[헤겔의 <정신현상..]
sean | 2022-07-19 15:52
개인적으로 숀 호머의 ‘라캉 읽기‘와 함께 가장 쉽게 잘 읽히는 라캉 입문서 중 하나. 기초적 얼개를 파악하는데 아주 유용하다.
100자평
[라캉은 정신분석에 대..]
sean | 2022-06-03 17:35
빼어난 해설서. 전기.중기.후기 사상을 시기별로 정교하게 재구성.
100자평
[라캉 대 라캉]
sean | 2022-06-03 17:33
원전에 충실하며 상세한 해설서. 입문자들에게 꼭 필요한 책. 칸트 전공 학자들이 여태 하지 못했거나, 하지 않은 일을 해냈다.
100자평
[『순수이성비판』 강의]
sean | 2022-06-03 17:18
깊은 내공을 바탕으로 직조된, 국내 문헌 중 가장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칸트 입문서. 깊고도 넓다.
100자평
[칸트 철학에의 초대]
sean | 2022-06-03 17:14
4강, ‘인권의 정치로서 이데올로기 비판‘, 에티엔 발리바르의 중후기 사상이 명쾌하게 잘 정리돼 있다. 아주 유익하다.
100자평
[일반화된 마르크스주..]
sean | 2022-06-03 14:48
아렌트의 전체 저작과 거의 모든 개념을 빠짐 없이 다룰 뿐만 아니라 그 저작과 개념들의 연결망, 구조를 체계적으로, 짜임새 있게 다루고 있다. 훌륭한 입문서.
100자평
[아렌트]
sean | 2022-06-03 01:52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