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알라딘신간평가단
  • 집단 바보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From 꿈꾸는 비행선  2016-05-14 18:26
  • 저자는 뉴질랜드출신의 자칭 프레젠테이션 트레이너 올리비아 미첼의 그래프의 보고 번개가 번쩍하는 영감을 받았다. 가장 바람직한 상태는 “천제적으로 간단명료함”을 지향해야 하지만 우리 조직과 팀, 회의의 상태가 그래프 왼쪽에 몰려 있다. 이것이 바로 ‘집단 어리석음’..
  • 집단의 실수
  • From 푸른하늘님의 서재  2016-05-19 12:13
  • 우리는 왜 집단에서 바보가 될까.. 참으로 궁금하기 짝이 없는 의문이다. 우리나라의 공부열기는 상상을 초월한다. 초등학교에 미처 입학도 하기 전부터 시작되는 그 어마어마한 경쟁을 뚫고 상위권의 소수로 뽑혀서 마침내 유수의 대학을 입학하고 졸업한다. 단순한 졸업장 ..
  • 집단 어리석음, 집단 지성 무엇을 택할 것인가?
  • From 책쾌57님의 서재  2016-05-22 20:50
  • 유교적 질서가 지배했던 동양에서 집단이 가지는 명암은 고전적인 논쟁거리가 된다. 이는 집단지성의 힘에 대한 반작용으로 집단이 사람의 창의성을 죽이고 바보로 만든다는 담론이 제기되면서 더욱 활성화되었다. 흥미로운 것은 이 담론의 옳고 그름보다는 실제로 그런 사례..
  • 우리는 집단으로 허튼수작만 한다!
  • From 漂麥 (표맥)  2016-05-24 19:39
  • 웹에 굴러다니는 국회의원 관련 블랙유머 하나 읊어보자. ○ 남편과 국회의원의 공통점 1. 내손으로 골랐는데 참 싫다.2. 뒤통수를 친다.3. 안에서는 싸우고 밖에서 착한 척 한다.4.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5. 아직도 내가 사랑 하는 줄 안다.6. 내말은 죽어라 안 듣고 자기 맘..
  • 우리 회사의 이야기...하지만 해결책은?
  • From 강수철님의 서재  2016-05-29 23:31
  • 이 책을 읽으면서 어쩌면 우리 회사와 똑같은지 감탄을 금할 수 없었다. 물론 이해는 간다. 저자가 독일 IBM의 CTO 출신이니까 말이다. 동일 업종 회사의 CTO 부서에서 일하고 있는 나로서는 이 책의 내용에 백배 공감 할 수 밖에 없었다. 우선 이 책은 각 개인의 성과가 전체..
  • 집단 어리석음은 모두를 미치게 한다.
  • From Yearn님의 서재  2016-05-30 20:41
  • 분업, 협업 그리고 집단지성으로 "핀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다수의 부문으로 분할되어 특정의 노동을 수행한다. 첫 번째 사람은 철사를 잡아 늘이고,... (중략)핀을 종이로 싸는 일 역시 하나의 작업이다. 핀 제조업은 이처럼 약 18개의 독립된 조작으로 분할되고 있다...
  • 조직이 집단 어리석음에서 벗어나 집단 지성을 발휘하려면
  • From Integrity  2016-05-31 23:30
  • 여러 사람들이 모여 조직을 만들면 단점은 보완되고 각자의 장점이 합쳐져 힘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조직의 규모가 아직 크지 않은 소규모 단계일 때는 그런 곳이 많다. 하지만 규모가 커지기 시작하면 어느 순간 집단 어리석음에 빠지게 된다. 저자의 분석에 따르면 거의..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