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23/0117/IE003102215_STD.jpg)
잠깐의 스침에도 오래 기억에 남는 사람들이 있다. 그곳이 여행지라면 더욱 그렇다. 어쩌다 슈퍼에서 레몬이 수북 쌓인 것을 볼 때면 떠오르는 사람이 있다. 그분은 5년여 전 관광객인 나에게 자신의 텃밭 정원에서 레몬을 따 건네준 이탈리아 할아버지이다. 카페에서 지인들을 만날 때 커피 아닌 다른 것을 마시고 싶을 때면 나는 종종 레몬에이드나 레몬차를 선택하곤 한다.
그러면 자연스레 지난 여행에서 보았던 레몬나무와 레몬할아버지가 떠올라 폰의 사진함을 뒤적이곤 했다. 사진 속 레몬나무와 할아버지를 뵈면 그곳 친쾌테레(Cinqueterre) 앞바다의 파도가 눈앞에서 일렁이는 듯했다.
그 바다는 파도가 유독 거칠다고 당시 가이드는 말했다. 그 옛날 포에니 전쟁에서 구사일생 이기고 돌아오던 병사들이 정작 친쾌테레 앞바다의 파도 앞에서 무너졌다고. 파도가 너무 거세어서 고향땅을 눈앞에 뻔히 보며 죽어갔다고.
우리들이 바라보았던 그날도 바다는 흐렸고 파도가 거세었다. 슬픈 얘기에 그 옛날 병사들을 생각하다가도 이내 현실로 돌아와 우리들은 저마다 바다를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었다. 그리고 1시간 정도의 자유 시간에 나는 보다 위쪽의 언덕마을로 올라갔다.
![](http://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23/0117/IE003102226_STD.jpg)
![](http://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23/0117/IE003102229_STD.jpg)
풀들이 싱그럽게 뻗어 나온 돌담 벽 길을 지나 어느 집 담장에서 슈퍼나 사진에서가 아닌 실제 레몬나무에 달린 레몬을 처음 보았다. 사르르 한기가 돌던 1월 중순의 겨울이었는데 레몬은 춥지도 않은지 그 바닷가 언덕에서 노랗게 탐스럽게 열려있었다
나는 너무 신기하여 레몬 가까이 얼굴을 내밀고 바라보다 사진을 한 컷 찍었다. 그때 인기척이 났고 문을 나서는 할아버지와 눈이 마주쳤다. 나는 미소를 띠며 낮은 담장 너머로 인사를 하였다.
"본 조르노~."
"본 조르노~."
"소노 꼬레아나."(한국 사람입니다.)
"수드?"(남쪽?)
"씨!"(네!)
할아버지는 '아~'하시며 엷은 미소를 지었다. 나는 레몬나무를 가리키며 리모네(limone,레몬)가 예쁘다고 말하였다. 그러자 할아버지는 '하나 줄까?'하는 느낌의 말씀을 하며 따는 시늉을 하였다. 나는 얼른 '그라찌에' 감사하다고 말했다.
당시 90은 족히 넘어 보이던 할아버지는 아주 천천히 걸어서 레몬나무에 가더니 레몬을 하나 땄다. 다시 몇 걸음 더 천천히 걸어 철문 사이로 손을 내밀어 나에게 레몬을 주셨다. 나무에서 금방 따서 그런지 레몬은 아주 단단했다.
![](http://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23/0117/IE003102227_STD.jpg)
나는 할아버지의 힘겨운 걸음이 죄송해서 몇 번 더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돌아섰다. 처음에는 당연히 그 귀한 레몬을 한국에 가져와야지 생각했다. 그런데 농산물은 검역에 걸린다는 말을 들은 것 같아 가지고 온다는 생각은 이내 접었다.
그날 저녁 호텔로 돌아와 '어디, 눈 딱 감고 비타민C를 다량으로 한번 섭취해볼까.'하며 레몬을 입에 물었다. 그런데 레몬이 너무 딱딱하여 도무지 이로 깨물어지지 않았다. 뭔가 뾰쪽한 것이 있어 뚫을 수 있으면 좋은데 그런 것도 없었고 사과처럼 두 쪽을 내려고 힘을 써 봐도 까딱도 안했다.
그래서 며칠을 가지고 다니며 감상을 하고 향기를 맡다가 최종적으로는 호텔방 전화기 옆에 티슈하나 깔고 고이 올려두고 나왔다. 나름 그것은 그냥 버리는 게 아니라는 의미였다. 아무튼 그 별 것 아닐 수도 있는 레몬하나는 그 후 내 마음 속에서 별것이 되었고 이따금씩 추억으로 되살아났다.
그럴 때면 레몬나무와 바다는 지금도 변함이 없겠지만 할아버지는 그 후로 안녕하신지 그 안부가 궁금해지곤 한다. 부디 레몬나무와 함께 보다 오래사시기를 비는 마음 또한 간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