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내가 걸었던 거리들

 



약속 장소는 '그린 하우스 앞'이었다. 지난해 이맘때 약속 장소도 같았다. 그때는 건물이 공사 중이었다. 올해는 아예 낯선 간판과 산뜻한 인테리어로 새롭게 단장한 신축 건물이다. 이제 그린 하우스는 사라졌다. 사라져 버렸으나 우리의 기억 속에는 변함없이 그 자리에 '있는' 그린 하우스 앞에서 우리는 만났다. '그린 하우스 앞'이란 말은 '*대 앞'이란 말처럼 그 언저리에서 한 시절을 보낸 이들에게는 하나의 독립된 고유명사인 셈이다. 추억은 때로 융통성 없이 고집스러운 것이다.
 
우리는 아직 그 거리에서 사라지지 않고 남아 있는 몇 안 되는 추억의 공간 가운데 하나인 '오리지날'에 찾아 들어가 추억의 메뉴를 주문했다. 야채와 오징어 튀김, 그리고 라면과 쫄면 사리가 들어 있는 떡볶이. 식초와 간장과 약간의 설탕과 고춧가루가 적당히 배합된, 그 위에 송송 썬 실파와 깨소금이 섞여 있는 양념 간장의 맛 또한 정감 있는 튀김의 모습과 함께 여전했으나, 어딘지 모르게 맛은 달라져 있었다. 어쩌면 달라진 것은 구체적인 맛이 아니라 공기였을지 모른다. 오랜 시간의 빛과 기억의 먼지를 통과해 온 공기의 질감. 오래 입어 날긋날긋해진 옷소매처럼 고단하고 원숙해진 공기의 질감. 오랜 시간을 지나오면서 추억을 저장하는, 추억과 버무려진 맛을 기억하는 회로는 어느 지점에선가 자의적인 왜곡과 조작을 거쳤을지 모를 일이다. 기억은 '잃어버린 시간들'에 대해서 우리가 기댈 만한 기록이지만, 언제나 과거의 공정한 영수증이 돼주지는 못한다.

 



가미분식 앞을 지날 때는 첫 임신 때 입덧을 하면서 눈물겹도록 가미의 주먹밥이 먹고 싶었다던, 당시 미국에 가 있었던 친구 J가 생각났다. 나는 가미의 주먹밥만큼이나 가미 우동에 딸려 나오는 그 달착지근한 짠지무침의 맛을 때때로 그리워했다. 어느 해인가는 혼자 학교 앞을 배회하다가 가미에 들러 우동을 사먹기도 했다. 그 즈음에 남편이 공부를 마치고 한국에 돌아온 J를 만나기도 했으나, 이제 나는 J와 연락이 끊어졌고 혼자 가미 우동을 먹는 순간 같은 건 다시 찾아오지 않을지도 모를 일이다.
기억의 한 토막은 거리를 걷다가 문득 발부리에 채이는 돌멩이처럼 돌연 의식의 수면 위로 튀어 오르곤 하는데, 그 숨어 있는 맥락과 뿌리를 추론하는 일은 난해하고도 흥미롭다.
우리가 지녔던 감정들이 어떤 공간에 희미하게나마 각인된다고 생각하면, 평소에 무심결에 스쳐 갔던 곳이라도 새삼스럽게 다가오는 때가 있다. '여기'에 많은 사람들의 감정이 흘러서 쌓여 현재 '여기'의 느낌과 분위기를 만들어 냈다고 생각하면 '여기'는 그곳을 기억하는 사람들에게 특별한 공간이 된다. 어렸을 때 살았던 집이나 한 시절을 보낸 학교 앞 거리에 대한 애착 같은 것도 어찌 보면 그 공간이 간직하고 있었던 기억에 기인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곳에 가면 그 기억들이 나에게 다시 말을 걸어서 그때의 감정과 기분을 불러내 주는 것 같은....... 

 


 
미고에서 치즈 케이크와 티라미슈 등 조각 케이크 몇 가지를 골라 가지고(미고는 인기가 있는 곳이어선지 빈자리가 없는 데다가 전 좌석이 금연이었으므로) 바로 옆 건물 2층의 카페로 올라갔다. S가 얼마 전 외국 여행길에 샀다는 디카를 꺼냈다. 적당히 어둡고 따뜻한 불빛 아래서 우리는 사진을 찍었다. 카메라 창에 포착돼 있는 바로 몇 초 전의 내 모습이 낯설고도 기묘해 보였다. 녹음기를 통해서 듣는 자신의 목소리, 카메라의 필터를 통해 비쳐지는 자신의 얼굴은 왜 그리도 불안정하고 생경한 느낌을 주는지....... 과학적인 설명에 따르면, 그건 모두 거리와 [시간] 속도의 차이에서 오는 낯섦이라고 한다. 내 입에서 귀까지의 거리와 시간, 내 두뇌가 기억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과 실제 한 대상으로서 외부에 보여지고 있는 나의 모습간의 거리에서 오는 차이. 어쩌면 기억이 갖고 있는 환상과 왜곡 역시 같은 원리에 기대고 있는 건지도 모르겠다.  
S는 요즘 회사에서 임원진들에게 요구하고 있는 경영 마인드 익히기 트렌드에 부응해 '도요타 자동차 회사'에 관한 책을 여러 권 읽었다고 토로한다. Y는 자신이 일하고 있는 시민단체에서 원불교 교무 집에서 마련한 식사에 참석할 기회가 있었는데(원불교 교무는 어떤 식단을 먹는지 무척 궁금했으나...) 미묘한 이유로 동료에게 양보했다는 얘기를 꺼낸다. K는 한동안 이유 모를 불면증과 식욕 부진으로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는 데다 하루에 한 끼도 제대로 넘기지 못했는데, 병원에서 우울증 초기에 나타나는 증세라고 진단했다는 얘기를 담담하게 한다. 그 탓에 오랫동안 몸과 마음이 두루 시달렸을 테지만, 그 결과 지금 겉모습은 보기 좋게 가뿐해져 있다. 우리는 '나이 듦'을 어느 지점에서, 어느 순간에 실감하는지를 저마다 얘기하며 쓸쓸하게 웃었다.


훈훈한 등불 같은 추억과 몇 장의 흑백사진 같은 기억과 희미한 미래의 희망이 교직되어 흐르는 시간. 그 시간들 속을 목소리와 이야기와 말들이 가볍고도 무거운 공기 입자처럼 채워 갔다. 경락 맛사지와 요가와 맨손체조의 효과와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방법, 별거와 이혼과 성공적인 재혼 케이스와 쿨한 관계의 몇몇 사례들에 관한 이야기들, 주변 사람들의 성공과 실패, 인생의 부침에 관한 간략한 코멘트들. 그리고 그 사이사이 말하지 못한, 말로 되어 나오지 않은, 발자국 남기지 않은 채 슬쩍 지나가 버린 저마다의 은밀한 생각과 감정들. 
시간은 흐르고, 밤은 깊어 가고, 2004년 12월 어느 저녁 S와 Y와 K, 그리고 내가 함께 한 기억 또한 그렇게 쌓여 가고 있었다.


한 시절을 같이 보냈으며 오랫동안 서로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기억을 공유하고 있는 친구란 '같이 살지 않는 가족'과 같은 관계가 아닐까. 일상적으로 밥상머리에서 마주하다가 집 밖에서 우연히 마주치면 왠지 낯설고 부끄러운 기분에 외면하고 싶어지면서도 마음 한 켠 애잔한 연민이 느껴지는. 어쩔 수 없이 수긍하게 되는 동질감과 뿌리 깊은 동류 의식에 서글프고 누추한 감정 뒤켠으로 뜨끈한 국밥 한 그릇 뱃속에 채운 듯이 마음 든든해지는.


지난 주말, 내가 걸었던 거리의 한 풍경이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