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님방과 작업공간이 부족하다고 일터 증축을 시작한지 1년이 지났지만
꼼꼼하게 짓고 돈이 마련되면 짓고 하다보니 여전히 공사 중이다.
그래도 이제 막바지라 좀 더 열심이다보니 엄마나 아빠나 지치고 신경이 곤두 선 요즘이다.
어느 날 아침부터 일도 너무나 많고 급해서 티격태격하다보니
치료수업을 데려간다 못간다 신경전을 벌였다.
일단 사촌누나가 데리고 갔다가
미리 정해진 일정대로 누나는 서울로 가고
수업 마치는 시간에 엄마아빠가 데리러 가기로 했지만
이렇게 바쁘고 어수선한 상황에서 과연 제 시간에 갈 수 있을지 엄마는 걱정이 앞섰다.
그래도 예전에는 웬만큼 바쁜 날이면 그냥 오늘은 쉬라고 하는 날이 잦았었는데
원래 아들이 치료수업 나들이를 워낙 좋아하기도 하고
지난 가을부터 부쩍 나아지는 모습을 보여주니
요즘은 무리를 해서라도 꼬박꼬박 빠뜨리지 않고 열심히 가라고 배려를 해주어서 고마웠는데 ㅠ.ㅠ
어찌되었건 아침부터 내리는 비를 맞으며 배추모종을 다 심고 간신히 시간 맞추어 아들을 데리러 갔다.
엄마는 아무 생각없이 수업마친 아들 이름을 불렀는데
어쩐 일인지 언어치료수업이 끝나도 책상 앞에 그대로 앉아 고개를 떨구고 있던 아들이
스프링이라도 달린 듯 펄쩍 뛰어일어나며 손뼉까지 크게 치고 달려나와
엄마를 부르며 품에 와 안겼다.
알고보니 첫 수업인 음악치료 시간에는 크게 분 풍선에 가족들 이름을 매직으로 써 넣다가
엄마를 부르며 풍선 위로 엎어지며 엉엉 울었다는 것이다.
엄마가 데리러 오지 못할까봐 내심 불안하고 걱정스러웠던 모양이다.
따로 일러주지 않아도 어떤 상황인지 알만큼 인지능력이 향상되고
또 엄마 자리가 우리 아들에게 그렇게 컸던가 싶어서 깜짝 놀랐다.
늘 일에 쫒기느라 같이 생활하시는 큰엄마와 사촌누나에게 기대는 일이 많은데,
한편으로는 엄마라는 좁은 관계에만 매이지 않도록 인간관계의 폭을 넓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한 가지라도 더 엄마가 직접 챙겨야겠다는 반성을 한 하루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