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雨中山冊
  • 인생의 역사
  • 신형철
  • 16,200원 (10%900)
  • 2022-10-31
  • : 48,685
신형철의 글을 다 읽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은 건 처음이다.
가장 정결한 시간을 골라 천천히 조금씩 읽었다. 
그렇게 정성을 다한 것도 처음이다.

그의 글을 읽고 글쓰기가 어려워졌다.
제멋대로 끄적이는 것이 지금 쓰는 글의 본령이라고 여기고 있지만,
멋대로 끄적이는 것조차 함부로 던지는 공이나 화살처럼 여겨진 탓이었다.
글을 쓰는 데 그렇게나 ‘노오력’을 다하고 ‘최애선’을 다해야 하나?
부러 심술궂은 마음이 들기도 했다.

기실 신형철은 좋아하는 카테고리에 속해있지 않은 사람이었다.
그의 문장력이야 널리 알려질대로 알려진 일이었으나
그의 명성에 이끌려 선택한 책들이 기대감을 충족시켜주지 못했고,
(엄청난 걸 기대했다가 짧은 감상문에 놀랐다고나 할까?)
가지고 있는 권력에 비해 견지하고 있는 침묵이 불편하게 다가오기도 했다.

그리고 박서보 표지라니!
나는 문학계에서 그의 권력 못지 않게 미술계의 박서보의 위상이 서로 접점을 찾았다는 게 
경악스러웠다. 
아무튼, 누구든 믿을 만한 사람에게는 지갑을 여는 법이니까.
표지에 그만큼 투자(?)할 수 있을 만큼 신형철의 책은 팔리는 책이니까.
당연한 사실이 씁쓸하게 다가오는 건 내 꼬인 정서 때문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해석에 기대어 익숙한 시들, 혹은 처음 보는 시들을 다시 보았다.
얼마간 고마워했고, 얼마간 숙연해졌다.
‘좀 알겠다 싶으면 당신은 아직 모르는 것이고, 어쩐지 점점 모르겠다 싶으면 당신은 좀 알게 된 것이다’는 말은 함부로 떠들지 말라는 충고처럼 들렸다. 

도대체 왜 쓰는가.

나는 자신의 감정 상태를 떠벌리는 이야기 앞에서 진저리를 친다.
여행이 특히 그렇다. 아무도 경험하지 않은 이야기들을 마치 저 홀로 처음 세상을 마주한 것처럼
잔뜩 열에 뜰떠 늘어놓는 찬사에 싸늘해진다. 
허나 가장 먼저 수첩을 열고, 자판을 누르고 싶어지는 때는
그렇게 나에게 둔중한 충격으로 밀고 들어오는 어떠한 사건, 충격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떤 이는 그걸 애써 덤덤하게(비록 그것이 가장 절망적인 것일 지라도),
어떤 이는 한껏 부풀려(그것이 아무리 작고 보잘 것 없어 보이는 것일 지라도),
문자라는 도구를 빌려 남겨 놓는다.

쓰기는 자신을 위한 것인가, 아니면 타인을 향한 것인가. 
쓰기라는 행위를 통해 우리가 얻고자 하는 보상은 과연 무엇인가.

기초적인 질문에 시라는 형태를 빌어 자신의 삶으로 답변했던 시와 시인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그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거의 아무 것도 읽어내지 못했을 거라는 의미에서 나는 어쩌면 문맹이다. 

시를 읽는 일이 이렇게 어려운 일이었던가?

“누구도 시인들만큼 잘 묻기는 어렵다. 나는 그들로부터 질문하는 법을, 그 자세와 열도와 끈기를 배운다. 그것이 시를 읽는 한 가지 이유다. 인생은 질문하는 만큼만 살아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누구도 똑같은 시를 쓸 수가 없다. 
우리 모두 각자 다 다른 시인이자 작가인 이유다.

신형철의 글에 비록 머쓱해지고, 부끄러워지더라도,
어쩌면 일기장 한 구석에나 적어놔야 하는 끄적임에도 불구하고 어딘가에 누가 보라고 적어놓는 이유는, 지금의 내가 끄적일 수 있는 만큼이기 때문이다.

‘혁혁한 업적’을 열망하는 마음을 내려놓고,
오늘의 초라한 나와 마주한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