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가보지 못한 길

즐거운 모임, 좋은 사람들


어제 오랜만에 SF읽기 모임이 열렸다. 작년 연말에 세번째 책 모임이 예정된 때에 갑자기 다들 바빠졌고, 그 뒤로 약 3달간 모임을 열지 못했다. 처음 두 번의 모임이 너무 좋았기 때문에 우리는 늘 얼른 다음 모임을 해야지 생각은 하고 있었지만, 몸과 마음의 여유가 없었다. 시간은 늘 그렇듯 빠르게 흘렀고, 이러다 이 모임이 흐지부지 없어져 버릴지도 모른다는 위기 의식이 생겼다. 그때 즈음에 모임의 다른 친구도 비슷한 생각을 했던 것인지 아래 책을 추천하면서 얼른 다음 모임 날짜를 정하자고 했다. 어렵게 정한 모임이 바로 어제였다. 이번 주는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하루도 빼놓지 않고 일과 시간 이후에 일정이 있었는데, 유일하게 비는 날짜가 월요일이었고, 다행히도 그날 다른 사람들도 비어있었다. 언제나 제일 어려운 일은 시간을 정하는 일인 듯하다.
















왼쪽이 개정판이고 오른쪽이 구판이다. 제목과 표지 디자인이 상당히 다르다. 겉만 보면 누가 봐도 같은 책이라고 볼 수 없을 것이다. 우리 모임 구성원 상당수는 대체로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읽는 편이다. 나와 또 한 사람만 주로 책을 사서 읽는다. 어떤 이는 책이 도서관에 없어서 못 빌렸다고 책을 못 읽은 변명을 밝혔는데, 다른 이가 구판은 여러 도서관에 있다고 했다. 이 말에 구판이 있는 줄 몰랐던 이들이 다소 놀랐다.


나는 전철에서 이 책을 읽으려고 꺼내다가 제목과 핑크색의 묘한 느낌을 주는 표지 때문에 망설이다가 결국 다시 가방에 집어넣은 적이 있었다. 누가 봐도 나이 든 남성인 내가 대중교통에서 이 책을 아무렇지도 않게 꺼내서 읽기는 어려웠다. 구판이었으면 아무렇지도 않게 읽었을텐데. 개정판이라고는 하지만 책의 내용은 하나도 바뀌지 않은 것 같았다. 꼼꼼하게 대조해보지는 않았지만, 내용이 바뀐 점은 눈에 띄지 않았다.


원서의 제목은 섹스 로봇과 비건 고기이다. 다소 모호한 구판의 제목과 달리 개정판은 책의 내용을 직관적으로 나타낸다. 이 책에는 섹스의 미래, 식량의 미래, 탄생의 미래, 죽음의 미래 이렇게 총 4개의 장이 있다. 이는 인간이 탄생에서부터 죽음까지 반드시 필요한 네가지 일이 과학 기술의 발달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다룬 것이다. 어느 뉴스에서 단신으로 들은 내용이나 어딘가에서 읽은 적이 있는 내용들이 있는가 하면, 처음 접하는 신기한 내용들도 제법 있었다. 


우리 모임이 이번에 과학소설이 아닌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최신 과학 기술을 소개하는 이 책을 통해 현재의 상황을 살펴보고, 미래로 향한 흐름을 짚어보기 위해서였다. 마침 모임이 세 달 가량 끊어진 틈에 적절한 내용으로 잘 연결한 것 같았다.


모임에 참석한 사람들은 대체로 총 4개의 장 중에서 제목에 쓰인 1장과 4장이 가장 흥미로웠다고 했다. 사실 섹스라는 주제는 누구에게나 흥미로울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다만, 이 책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섹스 인형의 미래에 대한 관심은 사실 사람 마다 다르겠지만, 내 기준에서는 별로였다. 엄밀히 말하면 나는 이 책의 서술 방식이 조금 문제라고 생각했다. 저자는 기자이자 다큐멘터리 제작자인데, 이 책은 기자로서 기사를 쓰는 방식이라기 보다는 다큐멘터리를 찍는 카메라가 세상을 비추듯이 쓰여있다. 문제는 이것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저자는 실제로 독자들에게 크게 중요하지 않은 정보들을 산만하게 나열하고, 중요한 정보나 사건들을 압축적으로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초반에 이 책을 읽으며 뭔가 불편하고 내용이 쉽게 머리에 들어오지 않았다. 아마 어제 모임에 참여한 사람들도 비슷한 느낌을 느꼈을텐데, 내가 이 부분을 조금 신랄하게 비판하자 한 분이 크게 공감했다.


이 책에서 저자가 찾아가 조명하고 있는 업체들은 나름 각자의 영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최신 과학 기술을 반영했다고 소개하고 있지만, 모두 소규모 사업장들이다. 이 저자가 주목하고 발굴해 낸 이 아이템들이 정말 최신 기술로서 우리 삶을 바꾸려면 아직은 갈 길이 많이 멀어 보였다. 그리고 저자는 대체로 비판적인 시선으로 이들을 소개하고 있다. 


다만, 나는 저자가 단순히 각 아이템들을 소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것이 가진 사회적, 철학적, 윤리적, 역사적 의미와 가치에 대해서도 다뤘으면 훨씬 더 좋았을텐데 하고 아쉬움을 느꼈다. 책은 조금 아쉬웠지만, 모임은 너무나도 좋았다. 나는 정말 훌륭한 사람들, 좋은 사람들과 함께 있어서 좋았다. 다른 이들도 오랜만에 모임을 가져서 다행이고 좋았다는 얘기들을 했다. 다음 책은 다시 과학소설로 돌아갈 예정이다. 다른 사람들이 추천을 안 하길래, 내가 필립 케이 딕 소설을 읽자고 추천했다. 워낙 유명한 작품들이 많은데, 그중 아래 책을 선택했다.

















집에 필립 케이 딕 책들이 있을 줄 알았는데, 하나도 없었다. 예전에 한창 읽을 당시에는 도서관에서 빌려 읽었었나 보다. 이번에는 저 책 뿐 아니라 다른 책들도 더 구해서 읽어볼 생각이다. 다음 모임에서 어떤 이야기들을 나눌지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2월과 3월에는 많은 시민단체와 협동조합 등의 총회가 몰려있다. 많은 단체의 후원회원이자 많은 협동조합의 조합원인 나는 참석해야 할 총회도 많다. 물론 내 기준에서 중요도에 따라 어떤 곳은 반드시 참석해야 하고, 어떤 곳은 꼭 참석하지 않아도 되는 곳들이 있다. 오늘은 꼭 참석해야 할 단체의 총회가 있다. 얼른 가서 행사 준비부터 도와야 한다. 자, 출발하자.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