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1.8.


《책의 계절》

 정지현 글, 버터북스, 2025.6.23.



모처럼 새벽 다섯 시까지 잔다. 구름빛 아침을 본다. 몸을 추스르고, 글을 갈무리하고, 낱말책을 여미고, 하루일을 헤아린다. 오늘은 부산 안락동 〈스테레오북스〉로 찾아가서 ‘책집나들이’를 이끈다. 어린씨랑 푸른씨를 이곳으로 이끌고 찾아온 분이 있기에, “어떤 책을 살펴서 읽느냐”보다는 “책을 어떤게 쥐고 만지느냐”를 들려준다. 우리집 아닌 책집과 책숲(도서관)에 있는 책은 “고맙게 빌려서 펼치는 책”이기에 가볍게 만지고 살짝 들출 줄 알아야 한다고 얘기한다. “종이로 묶은 책에 깃든 이야기”를 읽기 앞서 “우리를 둘러싼 들숲메바다가 속삭이는 이야기”부터 온마음으로 헤아리는 눈을 익히고서 종이책을 만나자고 보탠다. 이제 가랑비가 듣는다. 가랑비를 맞으며 〈카프카의 밤〉을 혼자서 살짝 들르고서 쉬러 간다. 《책의 계절》을 오늘 장만해서 조금씩 읽는다. 이웃나라 책집을 살피는 발걸음을 담았구나. 어느 나라에나 책집이 있고 책골목이 있다. 책집이란, 스스로 배우려는 사람을 잇는 푸른터라 할 만하다. 더 커다랗거나 멋스런 책집은 없어도 된다. 마을 곳곳에 작은책집이 자리잡으면서 누구나 언제나 바람을 읽듯 글을 읽고서, 글을 쓰듯이 마음을 쓰는 살림길을 펴면 넉넉하다고 느낀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