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0.28.


《만년필 탐심》

 박종진 글, 틈새책방, 2018.12.14.



밤새 발바닥과 종아리와 허벅지를 앓았다. 책짐을 잔뜩 이고 지면서 다니다 보니, 몸이 “언제 쉴래? 이렇게 굴려도 돼?” 하면서 나무란다. 길손채에 깃들어 글을 쓰는 내내 주무르고, 등허리를 펴고 눕고서도 한참 주무른다. 01:50에 눈을 뜨지만 뻑적지근해서 더 눈을 감는다. 03:50 즈음에 이르니 비로소 발바닥이 풀린다. 숭실대 앞으로 가는 753버스를 코앞에서 놓친다. 버스일꾼은 안 기다린다. 전철을 타려고 땅밑으로 깊이 내려간다. 책을 읽다가 그만 못 내릴 뻔한다. 〈라이브러리 & 두란노〉에서 올해 마지막 이야기꽃을 편다. 오늘은 ‘재다’라는 낱말을 들려준다. 소리는 같되 뜻이 다른 다섯 가지 ‘재다’가 있다. 재주를 부리려는 잔나비로 굴다가 자칫 재미와 자랑과 잿더미로 빠지지만, 차분히 재우는 잔잔한 숨빛이라면 싱그러이 자라나는 길로 접어든다. 누구나 장다리꽃처럼 피어날 만하다. 《만년필 탐심》을 읽었다. 오래붓(만년필)에 삶을 기울이는 이야기는 눈여겨볼 만하다. 그러나 여기서 끝이다. 오래붓과 얽힌 여러 ‘이름난 사람들’ 뒷이야기를 너무 길게 채운 듯싶다. 붓 한 자루와 살아왔고 살아가는 마음에 눈을 맞춘다면 줄거리가 새록새록 깨어나면서 ‘온붓’으로 피어날 붓길과 글길로 뻗을 만했는데.


ㅍㄹㄴ


"안세영? 어른들께 인사를 안 하고 다니더라" 1년 전 '싸가지 발언' 재조명…전세계 배드민턴 선수들이 "인성도 월클" 극찬하는데

https://m.sports.naver.com/general/article/311/0001934522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