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음악


 가을의 음악을 듣는다 → 가을소리를 듣는다

 아침의 음악이라면 → 아침가락이라면

 자연의 음악을 → 숲노래를


  ‘음악(音樂)’은 “[음악] 박자, 가락, 음성 따위를 갖가지 형식으로 조화하고 결합하여, 목소리나 악기를 통하여 사상 또는 감정을 나타내는 예술”을 가리킨다지요. ‘-의 + 음악’ 얼거리라면 ‘-의’부터 털고서 ‘노래’로 고쳐쓸 만하고, ‘노랫가락·노랫소리’나 ‘가락·가락꽃’으로 고쳐쓸 수 있어요. ‘소리’나 ‘속삭이다·우짖다·울다·울음·읊다’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슬픔의 玄이 없으면 기쁨의 음악은 울릴 수가 없다

→ 슬픔줄이 없으면 기쁨노래는 울릴 수가 없다

→ 슬픈 가락이 없으면 기쁜 노래는 울릴 수가 없다

《빈 배처럼 텅 비어》(최승자, 문학과지성사, 2016) 35쪽


특정 가수의 음악을 무한반복한다든가 하는 식이다

→ 몇몇 사람 노래를 끝없이 듣는다든가 한다

→ 어느 사람 노래를 자꾸 부른는다든가 한다

→ 그사람 노래를 쳇바퀴처럼 듣는다든가 한다

《우리말 꽃이 피었습니다》(오리여인, seedpaper, 2016) 44쪽


너의 음악을 네게서

→ 네 노래를 네게서

→ 너희 가락을 네게서

《에드거 앨런 포 시전집》(에드거 앨런 포/김정환 옮김, 삼인, 2016) 45쪽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