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8.23. 눈으로 쓴다
모든 글은 붓을 쥔 손으로 쓰는데, 붓쥐기 앞서 발로 땅을 디디고, 마음으로 삶을 새기고, 귀로 온누리를 듣고, 눈으로 뭇숨결을 읽는다. 눈코귀입을 모두 틔우기에 느끼고 헤아리면서 익힌다.
눈을 떠서 하늘과 구름과 새와 들숲을 본다. 눈을 감고서 우리집과 곁님과 아이들 숨결을 바라본다. 책을 쥐고서 한 쪽씩 넘기고, 나뭇잎을 살살 쓰다듬고, 콧잔등을 스치는 바람을 돌아본다.
작은나무가 모여 큰숲을 이루고, 큰나무가 어울려 작은숲을 이룬다. 솜씨나 재주에 기대면 길들지만, 손길과 발길을 부드러이 잇는 사이에 길을 연다.
네가 있는 곳과 내가 선 곳 사이에는 해바람비가 드나든다. 우리가 살림하는 곳에는 풀꽃나무가 깃든다. 서로 사랑하는 마음을 모아서 보금자리를 들숲메에 짓는다.
아무리 다 다르던 숨빛으로 태어났어도, 다 똑같이 짜맞춘 학교와 입시지옥과 서울과 아파트와 자가용과 인문학과 주의주장에 스스로 가두면 으레 쳇바퀴질로 기울어버린다.
여태 똑같은 구름이나 비가 있은 적이 없다. 나뭇잎은 모두 다르고 풀도 다 다르다. 그렇지만 가두리(공장식 축산·농업·교육·사회·정치·문화·예술)에 빠지면, 아예 똑같이 판박이가 된다. 어떻게 다 다른 사람이 다 비슷하거나 똑같이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가?
듣기 좋은 말을 바라는 마음이기에 닮다가 닳을 뿐 아니라 담벼락을 세워서 닫아걸더니 끼리끼리 닦달하는구나. 굳이 듣기 나쁜 말을 들을 까닭은 없다. 그저 스스로 배울 말글을 찾아나설 노릇이고, 배우려면 틀을 스스로 깨야 한다. 틀과 굴레를 안 깨니까, 깨어나지 않는 종살이에다가, 깨닫지 못 하는 얼뜬 나날이다.
쉽게 말하지 않으면 다 거짓말이다. 수수하게 글쓰지 않으면 다 거짓글이다. 쉽게 말하는 길을 스스로 헤아리기에, 들이쉬고 내쉬는 바람에 서리는 바람빛을 읽고서 낱말로 담는다. 수수하게 글쓰는 살림을 스스로 살피기에, 숲이 왜 푸르게 우거지는지 알아차리면서 글씨를 빚는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