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공부란 벼슬자리 : 글밥 먹는 이는 으레 ‘공부’라는 한자말을 즐긴다. 손수 일하고 살림짓는 이는 늘 ‘배우다’라는 쉬운 우리말을 쓴다. 지난날에는 아이들 누구나 “공부란 골아프게 외우며 힘들다”고 느꼈는데 “배운다면 즐겁고 멋지고 새롭고 신난다”고 외치곤 했다. 이제 요즈음 아이들은 ‘공부’하고 ‘배우다’가 왜 어떻게 다른지 까맣게 모른다고 느낀다. 요즈음 어른들도 두 낱말을 못 가리기 일쑤이다. 책이나 학교가 없더라도 ‘집·밥·옷·말’ 넷을 스스로 가꾸고 지으며 살림하던 예전 시골사람은 “아무나 못 가르치지만 누구나 배우는” 줄 몸마음으로 알았다. 한마디로, 공부란 벼슬자리요 벼슬따기요 벼슬바라기이다. 배우기란 사랑이고 살림이고 숲인 삶이다. 그래서 벼슬이 아닌 서로 눈빛을 마주하며 오늘을 바라볼 수 있기를 빈다. 함께 배우기를 꿈꾼다. 공부로 욱여넣는 학교·졸업장·자격증이 아니라, 온몸으로 들숲메바다를 품고서 온마음으로 풀꽃나무랑 노래하는 이웃님을 그린다. 2025.8.9.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