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4.27.

숨은책 1050


《우리黨의 綱領·政策》

 유진오·김대중 엮음

 신민당

 1969.



  1967년에 첫발을 내딛었다는 신민당은 이제 자취를 감추었다고 여길 만합니다. 사슬로 온나라를 꽁꽁 틀어막은 박정희한테 맞서려는 여러 사람이 뜻을 모았다고 하되, “박정희한테 맞서는 길”은 있어도 “온나라 수수한 사람하고 어깨동무하는 살림”하고는 아직 한참 먼 모둠이기도 했습니다. 이나마 있었기에 작게라도 촛불을 피워서 얼음나라를 녹였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만, 1969년에 나온 《우리黨의 綱領·政策》을 가만히 훑으면, 1989년에도 2019년에도 그리 안 바뀐 틀이로구나 싶고, 2025년에 우두머리 한 사람을 끌어내리고서 새로 나라일꾼을 뽑는 자리에 이르러도 벼슬꾼(정치꾼) 머릿속은 그대로이구나 싶기도 합니다. 요새는 나이든 사람도 어리거나 젊은 사람도 글이나 책을 꺼리면서 그림(동영상)만 들여다본다고 여깁니다. 그렇다면 왜 글이나 책을 꺼릴는지 살펴봐야겠지요. “읽을 글”이나 “읽힐 책”을 얼마나 썼는지 되새길 노릇입니다. 목소리만 높인다거나 못 알아들을 글을 그냥그냥 먹물티를 내면서 높다랗게 내세우지 않았나 하고 돌아봐야지요. 나라일꾼(대통령)으로 서고 싶다면, 먼저 “집안일을 맡으면서 아이를 돌본 서른 해를 살림하기”부터 해야지 싶습니다. 고을일꾼(시도지사·군수·구청장)으로 서고 싶다면, 먼저 “집안일을 맡으면서 아이를 돌본 스무 해를 살림하기”부터 해야 한다고 봅니다. 작은벼슬(국회의원)이라도 얻고 싶다면 “집안일을 맡으면서 아이를 돌본 열 해를 살림하기”는 밑동으로 두어야 할 테고요. 아이곁에 설 줄 알고, 집살림을 추스를 줄 알아야, 고을도 나라도 아름답고 밝게 다스릴 테니까요.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