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3.31.
《조선과 일본에 살다》
김시종 글/윤여일 옮김, 돌베개, 2016.4.3.
오늘 날씨는 놀랍고 재미있다. 아침에는 해, 낮에는 구름, 저녁에는 별이다. 비는 오지 않되 춤추는 날씨로 하루가 흐른다. 우리는 하늘을 보면서 무엇을 읽을까? ‘우리’라고 했으나, 이 ‘우리’는 누구일까? 시골하고 서울을 ‘우리’로 묶을 만할까? 남·북녘을 나란히 ‘우리’로 묶으면 될까? 한겨레란 이름을 모두 ‘우리’라 하면 되나? 싸움짓에 미친 이들도 ‘우리’라고 할 만할까? 《조선과 일본에 살다》를 천천히 읽는다. 글쓴이는 어릴 적에 얼마나 ‘일본 우두머리한테 미친 아이’였는지 낱낱이 보여준다. 글쓴이를 비롯해 숱한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렇게 일본바라기(친일부역)를 했다. 어른뿐 아니라 어린이도 수두룩했다. 어릴 적에 얼마나 철딱서니가 없었는지 스스로 밝히는 어른은 몇이나 있을까? 창피한 어린날을 밝힐 수 있기에 비로소 씩씩한 어른으로 선다. 부끄럽던 어린날을 말할 수 있기에 드디어 어질며 참한 어른으로 살림을 꾸릴 생각을 세운다. 잘못이란, 너희만 아니라 우리도 잘못이다. 참이란, 우리만 아니라 너희도 참이다. 무엇보다 ‘너희·우리’를 가르는 틀이 무엇인지 처음부터 낱낱이 다시 들여다볼 노릇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푸른별(지구)을 이루는 사람인가? 우리는 숲 곁에 있는 사람인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