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가기
검색
비코드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나의 계정
주문조회
보관함
0
알림
추천마법사
베스트셀러
새로나온책
굿즈총집합
분야별 보기
이벤트
중고매장 찾기
매입가 조회
알라딘에 팔기
회원에게 팔기
국내도서
전자책
외국도서
온라인중고
우주점
커피
음반
블루레이
알라딘 굿즈
자동슬라이드 멈춤
북펀드
오디오북
고객센터
알라디너TV
알라딘 서재
북플
소셜 속 알라딘
신간 소식과 다양한 이벤트 정보를 받아볼 수 있어요
알림센터
장바구니
메뉴 전체보기
검색
소소서재
글보기
서재 브리핑
방명록
닫기
공유하기
URL 복사
아니 에르노를 이해하는 데 있어 무척 중요한 책이나, 로즈마리 라그라브와 에르노의 대등한 하나의 대화(Une conversation)임에도 굳이 "아니 에르노의 말"로 엮은 욕심이 아쉬운 책.
100자평
[아니 에르노의 말]
두크나이트 | 2025-02-16 16:26
흥미로운 현상을 분석하는 중요한 책이다. 갈수록 미디어의 효과가 달라지고 있다. 한국 역시 정치에서 몇몇 정치 유튜버의 이야기가 유효하게 현실정치의 차이를 만들어내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에도 너무..
100자평
[트럼프는 선택되었을 ..]
두크나이트 | 2024-10-14 13:13
액체“근대”인가, 액체“현대”인가? 바우만 Liquid Modernity 번역의 문제.
페이퍼
두크나이트 | 2022-06-24 14:50
사회학을 넘어 인류사에 남을 지적 유산을 세계적인 베버 전문가인 김덕영 선생님의 번역과 주석으로 읽을 수 있다는 게 축복이다.
100자평
[[세트] 문화과학 및 ..]
두크나이트 | 2021-07-20 16:22
이런 책이 나올 수도 있구나. 그것도 세계적인 전문가의 각주와 함께.
100자평
[문화과학 및 사회과학..]
두크나이트 | 2021-06-18 16:30
사회학은 물론이고 사회과학을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꼭 읽어야 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100자평
[가치자유와 가치판단]
두크나이트 | 2021-06-18 16:30
이번 1차분 두 권은 언뜻 보더라도, 막스 베버는 물론이고 사회학을 넘어 사회과학의 핵심을 다루는 내용임을 알 수 있다. 이런 내용을 모국어로, 그것도 세계적인 베버 전문가의 꼼꼼하면서도 풍부한 해설을 곁들여..
100자평
[[세트] 문화과학 및 ..]
두크나이트 | 2021-06-11 10:10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이라는 착각
리뷰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두크나이트 | 2021-05-15 20:54
필독할 책
리뷰
[조선 불교사상사]
두크나이트 | 2021-03-05 22:18
오늘을 위한 레위기.
리뷰
[오늘을 위한 레위기]
두크나이트 | 2021-02-09 19:45
로저 올슨, <현대 신학이란 무엇인가>
리뷰
[현대 신학이란 무엇인..]
두크나이트 | 2021-02-06 23:02
아니 에르노의 <남자의 자리>를 읽는 한 방법
리뷰
[남자의 자리]
두크나이트 | 2021-01-30 15:29
니클라스 루만 사회학 이론의 정수, <사회적 체계들>
리뷰
[사회적 체계들]
두크나이트 | 2020-11-10 03:27
개인적으로 양혜원 씨는 ‘학적인‘ 글을 쓰기보다는, 지극히 ‘개인의 경험에 긴박된‘ 글을 쓰는 사람으로 보인다. 그게 단점이다. 나는 지금 한국 기독교와 페미니즘에 기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양혜원 씨의 글..
100자평
[종교와 페미니즘, 서..]
두크나이트 | 2020-08-04 01:06
[코멘트]이렇게 까지 쓰고 싶진 않았지만.
페이퍼
두크나이트 | 2020-08-04 01:04
이렇게 까지 쓰고 싶진 않았지만.
리뷰
[종교와 페미니즘, 서..]
두크나이트 | 2020-07-21 23:48
좋은 책이고 필독서이다.
100자평
[네 이웃을 네 몸과 같..]
두크나이트 | 2020-01-30 15:59
연령적으로 또 연구주제, 방법론적으로 다양한 필진 구성을 하려고 애쓴 게 보이네요. 좋은 구성이고, 그래서 다양하면서도 수준있는 이야기들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100자평
[한편 1호 세대]
두크나이트 | 2020-01-20 19:20
[마이리뷰] 번역청을 설립하라
리뷰
[번역청을 설립하라]
두크나이트 | 2020-01-19 00:21
발리바르는 세계적인 마르크주의자라는 명성에 걸맞게 ‘마르크스와 더불어‘ 마르크스주의의 정수에 도달하여 사유하면서도, ‘마르크스를 위하여‘ 어떻게 오늘 날 이 사상을 재전유할 수 있는지 천착한다. 이 책은 20..
100자평
[역사유물론 연구]
두크나이트 | 2019-12-18 00:09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