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잡식성 귀차니스트의 책읽기
베르사유 궁전을 본떠 지었다는 쇤부른 궁전으로 간다.
빈 중심가에서는 좀 떨어져 있어 지하철을 두번 갈아타고도 꽤 걷는다.
정문을 들어서서 보는 궁전은 벨베데레만큼 인상적이지는 않다.
궁전 뒷쪽으로 베르사유풍의 넓은 정원이 펼쳐지고, 멀리 언덕위에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글로리에테라는 전망대가 있지만 흐리고 안개낀 날씨때문에 딱히 인상적이지 않다.
여기 와서 맑은 날은 기차 타고 이동하는 날 뿐이다.
초록초록할 때 와야 아름답겠구나싶다.

하지만 쇤부른 궁전의 진가는 따로 있었다.
바로 입장권과 함께 주어지는 한국어 오디오가이드.
빈에서는 꽤 많은 곳이 한국어 오디오 가이드를 제공한다.
하지만 내용이 부실해서 오히려 작품강상을 방해하는 경구가 많았다.
하지만 쇤부른 궁의 오디오 가이드는 이 궁과 이곳에 살았던 사람들의 역사, 각 영역에 얽힌 이야기 등이 꽤나 들을만했다.
비싼 값인가?
우린 비엔나패스를 썼지만 여기 입장료는 다른 곳과 비교해도 탁월하게 비싸다. 1인당 6만3천원정도. 젠장이다.

궁전의 모든 방을 공개하지는 않고 정해진 동선을 따라 공개한 방만 보는데 여기가 제국의 중심이라는 걸 느끼게 하긴 한다.

원래 쇤부른 궁전 나와서 정원쪽에 있는 글로리에테까지 가려했지만 날이 너무 추워서 길이 다 얼어붙었다.
기어가야 할판
거기다 안개가 또 심해져 전망대 가봤다 아무것도 안보이겠다.
과감하게 포기.
언젠가 날 따뜻한 날에 내가 다시 와서 너를 봐주마


쇤부른 궁전 다음에 간 레오폴트 미술관은 앞에 본 다른 미술관에 비하면 심심한 편이었다.
클림트, 에곤 실레, 코코슈카의 작품들이 골고루 있었지만 알베르티나와 벨데베레에 비하면 뭐 소소하달까?
그래도 좋았던건 케테 콜비츠의 조각 작품이 2개 있었던 것정도다

미술관은 레오폴트가 제일 심심했는데 뜻밖에도 한국인을 가장 많이 만난 곳이다
엘베를 탔는데 8명 모두 한국인. ㅎㅎ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