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베데에서 그림 보며 행복하다 행복하다 하며 다녔는데 빈 최고의 미술관은 벨베데레가 아니었다.
최고는 알베르티나
마리아 테레지아의 26명의 자녀 중(마리아 테레지아 진짜 대단. 혼자서 16명을 낳았다) 가장 사랑받은 딸로 유일하게 연애결혼을 허락받았다는 마리아 크리스티나와 남편 알베르트공이 살던 궁이다. 이들 부부가 생전에 모은 미술품이 백만점이 넘는단다.
이 동네 부자는 자꾸 내 인지력의 한계를 넘는다.
나는 그 중 하나만 줘도 입 찢어지게 좋아할텐데....
어쨌든 알베르티나는 컬렉션이 최고다.
파카소. 에곤 실레, 클림트, 모네, 모딜리아니 뭉크...
하여튼 미술 책에서 보던 작가들이 총 망라되어있고. 컬렉션도 한 두 점이 아니라 전시실 한칸을 채울듯이 있다.
나는 내가 인상파를 딱히 좋아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는데 그건 인상파의 좋은 그림을 제대로 보지 않아서였다는 것을 까달았다.
이 미술관에서 컬렉션 다음으로 대단한 것은 그림을 맘껏 즐기게 해준다는 점이다.
그림에 줄 쳐서 접근 금지하는 선이 없다.
관람객은 자신이 원하는 만큼의 거리에서 관람이 가능하다
붓터치를 보기 위해 코앞까지 접근이 가능하다.
관람객에게는 행복한 순간이다.
이 미술관에서는 또 샤갈 기획전이 열리고 있었다.
샤갈 역시 딱히 좋아하지 않는 화가였는데, 그의 초기부터 말년까지 대표작들을 총망라한걸 보니 좋아하지 않을 수 없는 화가라는 생각이 든다.
그의 상실과 꿈과 미래에 대한 소망 같은 것들이 한 개인으로서의 샤갈로 다가오는 것이다
샤갈 기확전을 보면서 느끼는게 알베르티나정도 되면 전 세계의 컬렉션을 다 모을 수 있구나하는 감탄.
우리 나라에서 해외기획 전시를 하면 보통 메인 작품 2-3점에 나머지 스케치나 판화 소품들로 전시를 채우는 경우가 많은데 여긴 수십점의 작품이 모두 메인 작품이다.
이건 큐레이터의 힘으로 되는 것도 돈의 힘으로만 되는 것도 아니다.
알베르티나 미술관이 미술계에서 가지는 위치를 기획전시의 규모가 여실히 보여준다. 이틀 뒤에 고갱 특별전을 보러 갔는데 한국 기획 전시보다 조금 나은 정도. 오스트리아라고 해서 모든 미술관이 똑같지은 않은듯..
.
어쨌든 결론은 알베르티나가 탑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08/pimg_753602193456298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08/pimg_753602193456298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08/pimg_7536021934562990.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08/pimg_7536021934562993.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08/pimg_753602193456299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08/pimg_753602193456299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08/pimg_753602193456299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08/pimg_753602193456299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08/pimg_7536021934563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