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판 저본: Marxism and Epistemology (1975, 초판)
원서: L’Épistémologie historique de Gaston Bachelard (1969) +
Pour une critique de l’épistémologie: Bachelard, Canguilhem, Foucault (1972)
영역판 서문 (7-24쪽)
> 인식론이라는 단일한 분과의 두 경향 사이의 비교
1) 바슐라르 vs 포퍼
바슐라르의 [새로운 과학 정신](Le nouvel esprit scientifique, 1934 -> en. The New Scientific Mind)과 포퍼의 [과학적 발견의 논리](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1934) "사이에는 어떤 대면의 조짐이나 경쟁의 징후도 나타나지 않았다." [10]
[새로운 과학 정신]
[과학적 발견의 논리] ![](https://image.aladin.co.kr/product/115/42/coveroff/0415278449_2.jpg)
2) 바슐라르 vs 쿤
바슐라르의 [현대 물리학의 합리주의적 활동](L'activité rationaliste de la physique contemporaine, 1951)과 쿤의 [과학 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1962). "이 두 책은 핵심적인 문제들에서 실제로 일치하는 것처럼 보인다." "나는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완전한 오류라고 생각한다." [11]
![](https://image.aladin.co.kr/product/3158/61/cover150/8972915548_1.jpg)
"우리는 이러한 진기한 상황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인식론의 역사-- 필연적으로 비교인식론(comparative epistemology)의 형태를 띠게 될 역사 --를 가지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나름대로의 지적 국수주의에 기초해 있는 주장들이 불충분하다는 것은 명백하기 때문이다." "나는 이 공백에 의해서 야기될지도 모르는 심각한 오해-- 이러한 오해의 이론적 귀결들은 심각할 수 있다. --에 관해서 곧바로 독자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는 것을 느꼈다." [10]
"내가 보기에는, 바슐라르적 전통의 지배적 경향은 유물론적인데 반해서, 포퍼주의와 그 변종들의 경향은, 그것이 보여 주고 있는 어떤 외양들에도 불구하고, 명백히 관념론적이다." [11]
ct. 실증주의
푸앵카레"(H. Poincare) 이후 전통이 되어 버린 '과학의 가치'에 대한 논문들에 반대하여, 바슐라르는 인식론자들에게 현대 과학적 실천 속에서 새로운 인식론적 가치들이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13]
![](https://image.aladin.co.kr/product/4781/65/cover150/8920014310_2.jpg)
ct. 상대주의/회의주의
"이러한 유물론적 입장은, 바슐라르가 고전 시대의 관념론 철학이 '인식의 문제'라고 부르던 것의 이론적 공간을 떠나도록 만들고 있다." [14-15]
여기에 실려 있는 글들은, 3년이 넘는 기간 동안에 씌여진 것으로서, 명백하게 하나의 조우(encounter)를 표시하고 있다. 그것은 프랑스에서 변증법적 유물론-- 맑스주의 철학 --과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에 의해 시작된 인식론적 전통을 만나게 했던 이론적 조우이다. - P7
그것은 ‘인식론적 단절‘ 개념이 어떤 한계 내에서, 따라서 어떤 유보들을 가지고 과학성에 대한 역사적 유물론의 주장을 지지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내적 비판의 노력을 통해서, 바슐라르의 범주 체계를 역사 유물론의 체(sieve)로 걸러 내는 문제였다. - P9
나는 인식론 그 자체의 영역으로 빠지게 되었다. 왜냐하면 나는 내가 논의하고 있었던 독창적인 인식론적 전통이 인식론 혹은 과학 철학이라는 이름하에, 특히 앵글로-색슨계 국가들에서 실천되고 있는 것의 가장자리에서 어떻게 구성가능한가에 대해서 설명해야 했기 때문이다.- P9
이 과학 문화의 철학은 바슐라르의 설명에 따르면, ‘인식론적 가치들‘의 점진적인 출현과 항구적인 재조직으로서의 과학사를 드러내야 한다.- P12
가치들(윤리적, 미학적, 종교적 가치들)의 철학의 유심론적(spiritualist) 경향에 지배되고 있는 프상스의 철학적 전통에 반대하면서, 바슐라르는 인식론에도 가치들을 다룰 수 있는 권리를 요구하고 있다.- P12
과학들의 운명 속에서 합리적 가치들은 부여된다. 그것들은 역사적으로 부여된다. 과학사는 일종의 자율적 필연성에 의해서 나아간다.- P13
과학적 진리의 진리성은 저절로 ‘부여된다‘. 스피노자식으로 말하면, ‘veritas norma sui‘(진리는 그 자신의 척도이다).- P14
인식론적 ‘가치‘는 현재적이지 않은 것(what it is not), 즉 현재적인 것의 이전 것이거나 외부에 존재하는 것을 가치절하한다.- P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