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바스티안님의 서재
  • 서경
  • 이세동
  • 27,000원 (10%1,500)
  • 2020-11-30
  • : 524

동양 지식인의 필독서라는 사서삼경을 다 읽고 싶다는 생각은 예전부터 해왔다. 그중에서 『시경』은 중국 춘추 전국 시대의 민요들을 모아놓은 책이라 진입 장벽이 제일 낮았다. 『시경』은 어렵지 않게 읽었는데 나머지 책은 읽을 의욕이 나지 않았다.

그러다 『자금성의 물건들』을 읽으면서 『서경』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다. 공자는 구전되어 오던 요순시대와 하나라, 상나라의 역사, 주나라 사관들의 기록들을 모아 요순시대부터 주나라까지의 역사를 정리했는데, 그 책이 『서경』이다. 그러나 진시황이 분서갱유를 하면서 『서경』을 비롯한 유교 경전들은 심하게 훼손되었다. 진나라가 멸망하고 유가 사상을 국시로 삼은 한나라가 들어서자, 유교 경전 복원이 추진되었다. 한 문제 때(재위 기원전 180년~기원전 157년)『서경』을 복원하려고 한나라 조정은 진나라 관리였던 복생을 불렀다. 그는 분서갱유 당시 위험을 무릅쓰고 『서경』의 일부를 집 안에 숨겨놓았고, 『서경』 전체를 외우고 있었다고 한다. 문제가 불렀을 당시 복생은 이미 90세가 넘은 데다 방언이 심해 그의 말을 알아듣기 어려웠다. 그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는 것은 딸뿐이었기에, 한나라 관리 조착은 복생의 딸과 함께 복생이 암송하는 『서경』을 받아 적어 복원해 냈다고 한다. 『자금성의 물건들』의 저자 주용은 복생이 평생 동안 숨 죽여 살면서 『서경』을 지켜내고 90세가 넘은 나이에도 온 힘을 쏟아서 딸과 조착과 『서경』을 복원해 가는 모습을 감동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 이야기가 진실인지는 알 수 없지만, 만약 진실이라면 그들이 지켜낸 역사를 2천 년도 넘은 미래를 살고 있는 내가 읽을 수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 그래서 나는 『서경』을 읽게 되었다.

내가 읽은 『서경』은 중문학자 이세동 교수가 번역한 2020년 을유문화사판이다. 자비 출판으로 2024년에 번역 출간된 판본을 제외하면 가장 최근에 나온 한국어 번역판이다.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참고하고 절충해 최대한 이해하기 쉽고 논리적으로 일관성 있도록 번역한 것이 보인다. 각 편의 앞에는 해설이 있고 본문에도 각주를 풍부하게 실어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번역의 원전이 된 것은 당나라의 유학자 공영달이 편찬한 『상서전의』로, 복생이 복원한 28편을 토대로 한 『금문상서』와 동진 때 매색이 찾아냈다고 하는 58편 중 『금문상서』와 일치하는 부분과 새롭게 찾아낸 부분을 합치고 정리한 것이다. 문제는 매색이 찾아낸 부분 중 『금문상서』에 없던 부분은 후대의 위작이라는 것이 밝혀진 것이다. 그리고 『금문상서』도 현대 학자들은 그 시대 당시에 쓰인 것이 아니라 전국 시대에 정리한 고대사 자료로 보고 있다. 『서경』에서 다루고 있는 시대 중 고고학적으로 그 존재가 입증된 것은 상나라와 주나라밖에 없다. 하지만 전국 시대에 쓰였다 해도 그때까지 남아 있던 사료와 전해 오던 이야기를 토대로 한 것이고, 위작으로 밝혀진 부분들도 동진 시대에 발견되었으니 동진이 존속하던 시기(317년~420년)를 생각하면 적어도 1600년은 된 것이고, 당시 중국의 역사관과 정치관을 반영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니 문헌이나 유물로 입증된 정확한 역사라고는 할 수 없지만, 고대 중국의 정치, 사회 체계와 정치 이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조선시대의 왕과 신료들에게는 이 책은 바른 정치를 위한 교과서였다. 과거 시험에서 『서경』은 시험 범위에 들었고, 왕과 신하의 강론 시간인 경연에서도 『서경』은 기본 교재였다. 하지만 현대인이고 정치인도 아닌 나는 그들처럼 『서경』으로 시험을 볼 필요도 없고 그것을 현실 정치에 적용할 필요도 없다. 그러니 한결 편한 마음으로 책을 읽을 수 있었다. 그런 내가 보기에도 이 책 전체에서 반복하는 도덕 정치는 현실 정치에 적용하기에는 너무 추상적이고 이상적이다. 선한 이는 복을 받고 악한 이는 벌을 받는다고 이 책은 끊임없이 말하지만, 부귀영화와 천수를 누리다 편안히 죽은 악인들은 바로 최근 우리 정치판에서도 볼 수 있었다. 그럼에도 나태해지지 말고 늘 근면할 것, 사사로운 감정으로 인사나 다른 일을 처리하지 말 것, 책임은 아랫사람들이 아닌 자신이 질 것. 이런 원칙들은 되새겨 봐야 하지 않을까 싶었다. 사실 당시에도 이런 원칙을 지키지 못하는 군주나 지방관들은 있었고, 이런 도덕 정치를 외치던 위정자들도 정쟁과 음모, 반란에 시달렸다. 그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정적이나 반란 세력에게 당근과 채찍을 번갈아 쓰는 등 나름대로 정치적 술수도 써야 했다. 그럼에도 그들이 도덕 정치의 원칙을 이상으로 내세운 것은, 그러한 이상이 세워져 있어야 현실이 그 이상이 세운 목표치의 몇 분의 1이라도 따라갈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정확한 역사적 사실을 담은 역사서라고 하기는 어렵지만(애초에 요순시대는 역사보다는 고대 설화의 영역이고 하나라도 고고학적으로 존재가 입증되지는 않았다), 적어도 1600년 전까지 형성된 고대 중국의 정치관과 세계관을 엿볼 수 있다. 행정 체계와 사법 체계도. 그 모든 것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세계의 정치, 행정, 사법 체계에 영향을 미쳤다. 정교가 분리되고 점술은 비과학적인 것이 된 현대인이 보기에는 제사가 중요한 정치 행사이고 점술이 국가 정책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였다는 것도 흥미롭다. 물론 점술만으로 결정하지는 않았고 군주 자신과 신하들, 백성들의 의견을 모두 반영했다는 데서 과거의 제정일치 사회에서는 좀 더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라 때 왕들이 어디에서 어디로 물길을 냈다는 부분이 지명만 바뀌면서 반복될 때는, 성경에서 누가 누구를 낳고, 낳고, 낳고가 무한 반복되는 부분을 읽는 듯했다(이 부분이 이 책을 읽을 때의 고비였다). 사실 등장인물들이 신하나 백성이나 후손에게 남기는 권고도 비슷비슷한 내용이다. 그럼에도 번역자가 각 장 앞의 해설과 각주로 보충 설명해 주거나, 본문에서 엿보이는 당시의 사회상이 흥미로워 끝까지 읽을 수 있었다.

그러니 현대인인 내게는 이 책이 정치 교과서라기보다는 고대 중국의 면면을 축소해서 모아놓은 상자 같았다. 2천 년 전 중국의 이야기가 현대 한국인인 내게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다. 2천 년 전 고대 중국인들이 현실 속에서 고민하고 분투하면서 구축해 온 원칙과 체계가 우리 조상들이 나라를 세우고 이끄는 데도 영향을 주었고, 우리의 역사 속에서 또 다른 이야기들을 만들어왔다. 나는 그 이야기들이 만든 결과물이다. 솔직히 읽으면서 지루하고 단조롭다고 느끼기도 했지만, 출판 시장에서 5년만 지나도 절판되는 책들이 넘쳐나는 지금까지도 2천 년을 살아남은 이유와 의미는 분명히 있다고 느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