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최근 책들을 참 재미있게 읽어서, 명성을 얻게 된 최초의 계기를 읽어보려 골랐다. 첫 책이라아직 완전체는 아닌 것 같았지만 김혼비 스타일이 여기에서 시작되었구나 싶은 드립과 재치들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최강의 초 개인주의자인 '내'가 단체스포츠 끝판왕인 축구팀에 입단하는 이야기부터 즐겁게 술술 읽힌다. 입문 과정, 감독과 팀원들, 상대 팀들, 연습 시합, 기술 연마 등등 작가가 겪은 경험들을 나누며 여자축구의 세계로 독자들을 끌어당긴다. 어찌나 재밌어 보이는지 다 읽고 나서는 축구가 대체 뭐길래..라고 되뇌이며 여자축구를 검색하는 나를 발견하고 약간 머리를 흔들었다. 아, 나 운동 안좋아하는데. 넘어갈뻔 했다.
'여자'가 '축구'를 하는데 애로사항이 없는 건 아니다. 국대 출신 선수에게도 코칭하려 드는 남자들, 공차고 있으면 남편은 어쩌냐는 질문들은 여자이기 때문에 겪어야 하는 성가심이다. 우리는 우리가 좋아하는 것을 하고 싶을 뿐인데. 하고 싶은 것을 하는 세상을 위해 더 많은 여자들에게 축구를 권하는 작가를 따라 인식의 구획을 넘어서는 사람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이렇게 세상이 일방적으로 나눈 구획들이 선명하게 보일 때면, 우리가 속한 팀과 거기서 하고 있는 취미 활동이 그 영역을 어지럽히고 경계를 흐리는데 일조하고 있다는 걸 자각하는 것이다. 우리가 지금 하고 있는 운동이 ‘운동‘이 되는 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