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빠삐냥의 서재
  • 82년생 김지영
  • 조남주
  • 12,600원 (10%700)
  • 2016-10-14
  • : 95,186

0.

썼던 글을 다시 읽지 않는 부끄러운 버릇이 있다. 부끄러워서 그렇다. 글을 쓰는 나보다 글을 읽는 나는 그 시간의 간극만큼 더 똑똑하니까. 원래 비판은 더 쉬우니까. 그러니 읽으면 아쉬울 테고, 아쉬워서 부끄러울 테고, 부끄러우니 고쳐야 하는데 그건 힘들고 귀찮으니까. 그러니까 사실, 게을러서 그렇다.


의무교육 과정을 지나 성인이 되어서까지도 초본을 그대로 제출해 버리는 몹쓸 행동을 고치지 못한 탓에 후회도 참 많았다. 내 탓이오. 내 탓이오. 


내 글은 정말로 읽고 싶지가 않다. 거울 보는 것도 딱히 좋아하지 않는다. 이 나이까지 (나이야 뭔 상관인가 싶지만) 동화책을 좋아하고 환상문학을 즐겨 읽고 용과 나가와 주술과 저 우주 어딘가의 문명사회에 대해 진지하게 탐구하는 것도 비슷한 심리 아닌가 한다. 현실은 무섭고 귀찮으니까.



1.

집에는 [82년생 김지영]이 두 권 있다. 한 권은 나중에 선물로 받은 거고, 한 권은 출간되자마자(는 아닌가. 좀 알려진 뒤였나?) 구매했었다. 그리고 첫 장을 읽고 빠르게 깨달았다. 읽으며 괴롭겠구나. 의무감으로 읽는다면 더더욱. 그래서 덮었다. 언젠가는 읽겠지.


책장의 반절은 차지하고 있는 듯한 '언젠가는 읽을' 책더미에서 [김지영]을 구출한 건 2019년 10월 개봉한 [82년생 김지영] 영화였다. 정유미는 너무 예쁘고 공유는 너무 잘생겼던 그 영화를 보고 주룩주룩 눈물을 흘리다 나왔고 집에 와서는 바로 책을 펼쳤다. (그러고는 영화와 책을 비교한 감상문을 어딘가에 썼던 것 같은데 그게 어디였더라... 다시 볼 생각 없이 글을 쓰다 보면 정말 다시는 못 보게 되곤 한다).


그 독서는 예상한 만큼 괴로웠다. 영화보다 더 슬픈 내용이었는데, 영화를 본 만큼 이야기 자체에는 익숙해져서 조금 덜 슬프고 조금 더 화가 났다. 분노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거리감이 필요하다. 너무 가까우면 이야기에 취해버리니까. 



2.

평범하고 일상적인 아픔이라고 덜 아프지는 않다. 덜 화려할 뿐이지. 그런 의미에서 [김지영]은 훌륭한 작품이 맞다고 생각한다. 김지영 씨의 삶은 사실 정말로 별일 없는데, 그 별일 없음을 그렇게 참담하게 그려줘서. 


그래도 창작물이니까 끝에서는 더 (영화에서 그랬듯이) 희망적인 모습을 그려줬으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하다가도, 정말 그랬다면 이만큼 인상적인 글은 아니었겠구나 싶다. 영화의 밝은 결말은 원작의 어둠이 있기에 의미가 있다. 후련한 표정으로 글을 쓰며 내면의 어둠을 털어내고 더 당당하고 강한 사람으로 성장하는 주인공은 분명 멋지지만, 자아 성찰에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아무래도 나는 불안한 미래를 외면하며 현재를 살아가는 모습이 더 눈에 익다. 이쪽이 더 진실에 가깝게 느껴진다. 고치기보다는 도망가버리는 비겁함으로 날마다 괴로움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있다는 걸 안다.



3.

[김지영] 자체도, 이 책에 대한 반응도 현재 사회에 대한 거울이라고 생각한다. ('거울 속 물체는 보기보다 가까이 있습니다.') 민얼굴을 보는 게 부담스럽다 해도 거울을 보지 않고서야 제대로 된 꼴로 다닐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82년생 김지영]이야말로 작금의 필독서라 해야 하지 않을까.



4.

영화에서 김지영씨의 어머니가 딸의 얼굴을 어루만지면 내새끼, 내새끼 우짖는 장면이 가끔 생각난다. 세상을 바꾸는 힘은 사랑이 맞다. 사랑이 나를 분노케 하고, 행동하게 한다. 

김지영 씨는 미로 한가운데 선 기분이었다. 성실하고 차분하게 출구를 찾고 있는데 애초부터 출구가 없었다고 한다.- P123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