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크하르트 툴레로 시작해서 마이클 싱어, 아디야산티, 데이비드호킨스까지 그들의 대표작을 하나씩 읽었다.
에크하르트 툴레의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는 아마 5번은 읽었을 테고, 유투브로 오프라윈프리와 툴레의 북토크까지 찾아서 봤다.
이들의 공통점은 수행을 삶의 목표로 삼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어느날 갑자기 엄청난 깨달음이 찾아왔다는 것이다. 데이비드 호킨스는 정신과 의사이니 사람의 마음과 몸의 관계를 생각해야 하는 직업이었겠지만, 그도 또한 어린 시절의 갑작스런 체험이 그의 삶에 대한 탐색과 깨달음의 시작이 아니었나 싶다.
그들의 서술은 일관된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본성, 자아, 혹은 의식, 참 나 무엇으로 부르건 그들이 체험한 것은 나라고 할 개체는 없고 세상과 연결된 나가 있다는 것이다.
불교티비에서 김홍근 교수의 마음치유 강의 내용을 인용하면, <우리가 ‘나’라고 할 때는 이 작은 몸에 한정되어 몸의 경계, 이 체구가 자신이라고 믿지만 마음의 경계는 어디인가? 내가 마음으로 서울에 있는 친구를 생각하면 내 마음의 경계가 서울인가? 멀리 산을 바라볼 때 내 마음의 경계는 저 산까지인가? 이런 탐구를 하다보면 마음은 경계가 없음을 알게 된다.> 고 한다.
이런 종류의 책을 읽다 보니 예전에 이해하지 못하고 읽었던 다른 책과도 연결이 되었다. 십년 전에 사놓고 이해하지 못했던 ‘담배가게 성자’를 무심코 펼쳤는데 어떤 분이 죽음에 대해 질문하는 부분이 나왔다. 예전엔 피상적으로 이해만 했던 부분이 완전히 마음으로 들어왔다. 우리의 삶은 우리가 원하는 대로 일어나지 않는다. 내 삶을 내가 통제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우리의 착각이다. 데이비스 호킨스의 말처럼 음악을 듣듯이, 사라지는 한 순간, 지금 이 순간이 있을 뿐이다.
1초 전으로도 시간을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은, 지금 이 1초가 얼마나 소중한 영원인가를 말해주는 것이다. 내 딴엔 열심히 산다고 살았는데도 돌아보면 ‘그때 내가 이것을 알았더라면’ 하는 후회와 자책의 시간들이 있다. 하지만 그런 서툰 삶을 살았던 나를 비난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지금 이 순간을 더 깨어서 잘 보고 살아야겠다. ‘조고각하’
오늘 내가 행하는 업이 내일이 될지, 다음 생이 될지 알수 없지만 결국 내가 받을 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