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꽃이 아름답다.

한 노인은 물고기와의 싸움을 넘어 자신과의 싸움을 통해 도전하는 자만이 해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인간이 자연을 넘어섰다.

다른 한 노인 안토니오 호세 볼리바르는 백인에게 새끼를 잃고 분노하는 암살쾡이를 독재자 읍장의 명령으로 쫓아가 싸워 죽였지만, 그것은 자신이 아직 살아있다는 것을 증거하는 몸부림이 아니었다. 노인은 밀림 속에서 삶과 죽음은 다른 무엇도 아니고 어떤 누구에게도 다르게 채색될 수 없는 그 자체라는 본질적인 삶의 근원을 찾아 나선 것이다. 그리고 서구에 의해, 그 서구에 굴종하는 인디오에 의해 질서가 깨어지고 유린당하는 밀림을 우리 앞에 그대로 보여 준다.

노인은 젊은 시절 아내와 함게 정부가 말한 <약속의 땅> 엘 이딜리오에 도착했지만, 척박한 밀림에서 처음 맞은 우기에 굶어 죽기 직전이었다. 그때 수아르 족이 그들에게 밀림에서 살아가는 방식을 알려주었다. 밀림을 개간해서 살아가는 것이 아니고 밀림과 동화되어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하지만 아내는 두 해를 넘기지 못하고 말라리아에 걸려 죽었다. 노인은 밀림 생활 중 독사에게 물려 죽을 뻔했지만, 수아르 족의 각별한 치료에 살았고 그 이후 수아르족과 함께 살았다. 밀렵꾼에게 수아르족 친구를 잃을 때까지 말이다. 친구를 죽인 이를 산 채로 부족에게 데려오지 못하고 백인의 방식인 총으로 죽였기 때문에 그는 부족과 작별을 고해야 했다.

밀림을 개간하려던 노인은 밀림의 품에 살게 되었지만, 밀림을 훼손하려는 자 때문에 다시 밀림 밖에서 살아야 했다.

누구보다도 밀림과 그 속의 인디오와 동식물을 이해하고 존경하는 노인이 인간이 벌여놓은 사태를 '수습' 한다.

발이 물에 젖지 않게 신은 뚱보 읍장의 고무장화는 걸리적거릴 뿐이었고, 밀림 속의 어둠에서 보려는 의지를 충족할 전등은 야수의 공격을 받기 좋은 위험한 물건이었고, 나약한 인간을 보호하기 위한 총은 더 큰 위험을 초래할 뿐이었다. 부스럭거리는 소리에 놀라 총을 난사한 읍장은 밀림에서 가장 순한 곰을 죽이기까지 한다. 

노인은 그 모든 것을 뒤로한 채 새끼를 잃고 복수심에 사람을 사냥하고 있는 암살쾡이를 홀로 쫓는다. 암살쾡이가 처음 한 것은 노인을 유인해서 죽어가는 수컷에게 데려다 놓은 것이다. 상처로 고통받고 있는 수컷을 죽여달라는 것이었다.


"친구, 미안하군. 그 빌어먹을 양키 놈이 우리 모두의 삶을 망쳐 놓고 만 거야." p149


뒤집힌 카누 아래에 노인이 있었고 그 위에 암살쾡이가 있었다. 그리고 긴 시간이 지났다. 마지막 결전에서 노인은 이겼지만, 명예롭지 못한 그 싸움에서 어느 쪽도 승리지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하면서 부끄러운 눈물을 흘렸고, 그 시체가 전리품으로 전락하지 않고 누구의 손에도 닿지 않게 훼손되지 않게 강물 속으로 밀어 넣었다. 


그는 그 짐승의 시체가 우기에 불어난 하천을 따라 다시는 백인들의 더러운 발길이 닿지 않는 곳으로, 거대한 아마존 강이 합류하는 저 깊은 곳으로 흘러가길 바라면서, 그리하여 영예롭지 못한 해충이나 짐승의 눈에 띠기 전에 갈기갈기 찢어지길 기원하면서 강물 속으로 밀어 넣었다 p156


명예롭지 못한 그 싸움은 인간에 의해 새끼를 잃은 암살쾡이의 인간에 대한 복수와 밀림에게 배운 지혜로 암살쾡이를 사냥하는 것을 일컫는 것이다. 그 두 명예롭지 못한 행동은 모두 인간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한 노인이 이제는 궁색한 집에서 빛바랜 신문으로 잘나가던 시절을 그리워하며, 자신을 보살피는 아이에게 커서 그 신문의 야구선수처럼 그 노인의 젊은 시절처럼 크게 성공하라고 말하며 억센 손으로 대양을 나아가 억척스럽게 청새치를 잡고, 그 청새치에게 달려드는 상어에게 항거 했지만 결국 포기하고 거대했던 청새치의 앙상한 뼈만을 가지고 항구로 돌아온다. 그 거대했지만 이제는 앙상하게 남은 뼈로 노인의 아직 삶아 있음을 아직 도전할 수 있음을 증거해야 할까? 

루이스 세풀베다의 <연애 소설을 읽는 노인>을 읽고 <노인과 바다>를 바라보고 있으면, 청새치의 뼈는 인간의 어리석은 도전으로 초래한 '파괴' 일뿐이다. 1952년 출간된 <노인과 바다>는 세계 2차대전 이후 엄청난 부를 얻게 된 미국을 불굴의 정신으로 도전해서 세계 평화에 이바지했다는 것을 찬양하고 상어 떼로부터 살점은 모두 빼앗겼지만 자신들은 그 뼈만으로도 상징적 보상을 받았다고 겸양을 떠는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1989년 세풀베다는 살해당한 환경 운동가 치코 멘데스에게 바치는 소설 <연애 소설 읽는 노인>을 발표했다. p2

선진국이라고 불리는 나라들과 그 나라들의 기업들로부터 유린당한 모든 인간과 자연을 위해서.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