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a garland for his head





카렐 차페크의 신간이 나왔다. 모비딕에서 출간되었던 『오른쪽 주머니에서 나온 이야기』를 다듬은 을유문화사의 『첫 번째 주머니 속 이야기』이다. 역자는 동일하다. 단편선 〈주머니 이야기〉의 반만 수록했는데, 출판사 홈페이지에서 목차를 비교해보니 이 책이 맞다. 나머지 단편선, 『왼쪽 주머니에서 나온 이야기』도 을유에서 나왔으면 좋겠는데. 최근 차페크에 대해 떠올리곤 하던 차라 반가웠다. 정확히 말하면 카렐 차페크 읽기 계획을 세우다 말아버린 것이지만... 




한동안 카렐 차페크 하면 홍차가게를 떠올리곤 했다. 나는 줄리아 하트 덕분에 이 작가를 알게 되었는데, 2집 《영원의 단면》 앨범명을 그의 작품 『평범한 인생』에서 가져온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오랫동안 정바비가 국문학 전공으로 알고 있었는데 최근 노문학 전공이란 글을 읽었다. 제2전공이 국문학인가? 중요한 건 아니래도 생각해보니 가사라던가 많은 부분에서 그가 노문학도였음은 금세 알았을 텐데. 왜 그랬을까, 아마도 싸이월드 시절에 미니홈피에 마광수 교수님 연구실을 찍어 올린 사진을 보았던 기억 때문인 모양이다. 심상치 않은 기운이 느껴져 옆을 보니 그 분의 연구실이었다던가 하는 그런 글이었는데... 




2013년 재녹음 발매된 《영원의 단면》보다 초판본이 더 좋은 건 그 노래를 듣던 당시의 나를 추억하고픈 마음 때문인 것 같다. 초판과 재녹음반의 차이는 ‘날카로운 첫 키이―쓰’와 ‘날카로운 첫 키스’의 차이... 좀 더 부드럽고 노련하고... 조금 슬프고...




사인반이었던 것 같아 찾아봤다. 비슷한 시기에 구입한 《빗방울보들》과 《Miss Chocolate》도 어딘가에 있을 거다. 가장 좋아하는 트랙은 아니지만 이 노래를 링크한 것은 틴에이지 팬클럽의 프란시스 맥도널드가 피쳐링해주었기 때문이다. 어쨌든 당시엔 차페크를 읽고싶은 생각이 별로 없었다. 다시 그의 이름을 본 것은 『로봇』이었나, 평전 출간 관련한 메일에서였나... 아무튼 광고를 보고였는데 그러고도 한참을 지나서야 문득 줄리아 하트를 떠올리게 되었다. 뮤지션이 보았던 『평범한 인생』은 『호르두발』, 『별똥별』과 함께 철학소설 3부작을 이룬다.




이 책들은 절판되었다. 이후 지만지에서 나왔지만 『평범한 인생』이 없다. 그래서 열린책들에서 나온 『도룡뇽과의 전쟁』을 읽을까 하다 관두었다. 도서관에는 있던데 찾으러 가기엔, 그런 열의까지는 없는 것 같다. 글을 쓰면서도 좀 처지네... 잠시 반성... 그러다 구병모의 『한 스푼의 시간』을 읽게 되었고, 작가의 팬이 되었다. 이야기가 이상하게 튀는 것 같지만 차페크 덕분에 ‘로봇’이란 용어가 세상에 등장한 것이나 다름없고, 구병모의 소설에는 로봇 소년이 나오니까 뭐 아주 동떨어진 이야기는 아니다. 뭐... 그렇다는 거다. 뮤지션이 쓴 글에 대해서는, 이번 밥 딜런의 책도 읽어보지 않아 모르겠지만- 이석원이든 정대욱이든 그냥 노래만 듣는 걸로... 가사도 시니까 가사만 읽는 걸로...


조금 더 기운을 돋우기 위해 제인 오스틴 이야기를 해보자.




시공사에서 〈제인 오스틴 전집〉이 나왔다. 나는 캐스 키드슨 특유의 플라워 패턴을 좋아하지 않는다. 열심히 표지를 선정한 출판사 직원들께 미안하지만... 비슷한 예로 이전에 키이스와 합작했던 민음사의 특별판도 별로였다. 그래도 전집이라는데 의미가 있다. 역자를 살펴보니 남몰래 좋아하던 분도 계시고 아마도 『레이디 수전 외』, 『맨스필드 파크』 정도를 사지 않을까 한다.




링크한 트레일러는 11월 24일 개봉 예정인 《러브 앤 프렌드쉽》이다. 제인 오스틴이 10대 시절에 쓴 단편 『레이디 수전』을 스크린으로 옮겼는데, 제목은 오스틴의 작품 『사랑과 우정』에서 가져 온 것이다. 젊은 나이에 혼자가 된 레이디 수전이 딸과 자기 자신의 결혼상대를 찾으려는 내용인데 재밌는 게 딸보다 자기 자신이 우선이란 거다. 재산이 좀 부족할 뿐, 신분과 외모를 갖춘 레이디 수전의 남자관계도 복잡하다. 여튼 특이한 작품, 재기발랄함에 비하여 출판된 작품과 비교해 노련함과 마무리가 부족한 것이 흠. 영화 《엠마》에서 귀여운 중매쟁이, 민폐왕 엠마를 연기했던 케이트 베킨세일이 ‘레이디 수전’을 연기하며, 그의 절친 알리시아 역은 클로에 셰비니가 맡았다.




다음으로 살펴볼만한 책으로는 윌리엄 트레버의 장편소설 『여름의 끝』이 있다. 트레버의 책을 출간일 순으로 배열해 보았다. 나머지 두 권도 집에 있고 아직 읽지 않았는데 하마터면 신간을 모르고 지나칠 뻔 했다. 왜 이런 표지일까. 원제가 『사랑과 여름』이라서 그런가? 무슨 타르트 레시피북 인 줄 알았다. 『비 온 뒤』 표지도 무슨 하이틴 소설 같아서 지나칠 뻔 했었는데. 아무튼 이 작품은 윌리엄 트레버가 81세에 발표한 ‘장편’이다. 책소개를 살피는데 이런 문장이 눈에 들어온다. “아무런 잘못이 없는 사람이 겪어서는 안 되는 그런 고통”(273쪽), 우리는 그런 고통을 자주 목격한다. 너무 자주...




로버트 해리스의 『유령 작가』 개정판으로 나왔고, 안드레이 마킨의 『프랑스 유언』과 교유서가에서 나온 『파시즘』은 추천. 동서문화사에서 세계문학 전집 표지를 갈음하여 다시 찍었나 보다. 그 중에서 『고요한 돈강』.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