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독서 기록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두 번째 이야기 : 티모시 투쳇의 발라드


첫 번째 단편 [줄서기]를 읽으면서 대단한 이야기꾼이라는 것을 실감했다.  두 번째 이야기도 역시.


유명한 소설가가 되겠다는 어린 시절의 결심때문에 뉴욕에 오긴했지만 글 한 줄 쓸 수 없는 티모시. 소설 집필을 늦출 수 밖에 없는 이유는 하고 싶은 이야기가 없다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소설의 마지막 문장. 


아, 티모시. 드디어 네게 경험이 될 일이 생겼다. 


특별하고도 특별한 경험은 생겼는데 과연 그는 소설을 쓸 수 있을까?


아무리 좋은 능력을 가지고 있어도 제대로 써야하고, 사람도 잘 만나야 인생이 꼬이지 않는 법인데, 티모시의 인생이 이렇게 꼬일 줄이야. 서점상의 눈에 띄어 서명 위조에 발을 들이게 된 티모시였다. 원칙을 정했으면 예외를 두진 말아야하는데 그 예외가 발목을 잡아버렸다. 야구 경기를 보면서 항상 느끼는 것인데,  중요한 순간 에러 하나는 거의 점수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살아있는 이의 서명 위조라니! 폴 오스터가 서점에 들렀다가 우연히 자신의 서명이 되어 있는 책을 발견하고 의아하게 생각한 것이 발목이 잡힌 계기가 되었다. 폴 오스터가 서명을 보고 생각하는 장면들은 필체가 가지고 있는 특별함에 대해서 생각하게 했다.


자신의 서명이 너무나도 거만하게 보인 탓이었다. 이렇게 당당하다니. 이렇게 자신감이 넘치다니. (중략) 그러나 젊은 자신을 질책하던 중에도 그는 P의 필체가 다소 인상주의적이라는 사실을 알아차렸다. 그 나이 때에는 확실히 대문자를 이보다 더 정확하게 썼는데.'이상한걸.' 그는 속으로 생각했다.-p92


이 서명 역시 자신의 성공을 의식하는 작가의 것이었으나, [잠겨 있는 방]이 출판될 무렵에는 아내가 이미 딸을 임신하고 있었다. 그 행복한 소식을 듣고 깊은 곳에서 솟아난 기쁨과 겸허함은 어디로 가버렸지? -p93



작가들에게 있어서 서명이란 '그냥 내가 쓴 내 책이다'라는 의미 외에 서명에 많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듯했다. 이런 폴 오스터의 눈에 띄어버렸으니. 그냥 원칙에 따랐다면 좋은 경험(?) 은 안해도 되었을텐데.


자신의 재능, 시간, 노력을 쏟아 인간의 마음을 표현해낸 기분이 마치 방금 협주곡의 마지막 음을 연주하고서 청중의 갈채를 기다리는 피아니스트의 기분과 비슷했다. 톨스토이가 소설의 마지막 페이지를 완성하며, 자신이 자신의 이전 작품을 뛰어넘었을 뿐만 아니라 동료는 물론 어쩌면 우러러보던 작가들의 작품마저도 뛰어넘은 것 같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때 느꼈을 법한 기분과도 거의 비슷했다. -p 88



왜 싸이코패스가 떠올랐을까? 자신의 범죄를 인정못하고 뭔가 정의를 실현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자신이 특별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착각을 하는 사람들. 티모시는 그 정도라고 말하긴 그렇지만 범죄임을 자각하지 못하고, 자신의 비범한 능력에 감탄하고 있는 모습이 정상은 아니구나싶었다. 



이제 세 번째 이야기로 넘어가보자.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