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공부(학문) 하는가?,'
'많은 이가 제 곳간 채우기에 급급한데 왜 어떤 이는 곳간을 세상에 열어 주는가?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23/pimg_7576931184580491.jpg)
가끔 떠오르는 질문인데 의료인류학자 "김관욱"을 통해서 그 답을 엿보았다. 그는 [아프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2018)를 시작으로 [사람입니다, 고객님](2022)에 이어 2024년에는 [달라붙는 감정들] 외에도 무려 [몸: 살아내고 말하고 저항하는 몸들의 인류학]과 [지불되지 않는 사회]까지 단독 출간했다. 김관욱은 열정적 저술활동 만큼이나 대학강단과 현장에서도 뜨거운 심장과 행보로 깊은 영감을 주어왔다. 그의 활동을 관통하는 공통 화두라면 #건강, #몸, #인류학, #사람일텐데 그는 세상에 뜨거운 질문을 던지고 응답하느라 고군분투 중이다. [지불되지 않는 사회]의 부제 역시 [ 인류학자, 노동, 그리고 뜨거운 질문들]이다. 인류학자 김관욱은 타인의 고통에 무감각해져서라도 "각자도생(사)"하는 차가운 사회에서 "냉혹한 노동 현실에 대한 뜨거운 질문"을 던진다.
"[숨가쁨] 얼마나 아파야 노동자는 쉴 수 있을까?"
"[허무함] 나의 사유재인 노동은 왜 가치도 인정받지 못하고 착취 당하는 공공재가 되어 버렸을까?"
"[상처] 과로사, 절망사, 노동자살, 산재 등등...어쩌다가 생존을 위한 밥줄이 나의 목숨을 위태롭게 하는 세상이 되었을까?"
"[우울] 어쩌다 노동은 마음과 몸을 병들게 했을까?"
"과연 우리 사회는 '공정한, 좋은 노동'에 대한 사회적 고민을 하고 있는가?"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23/pimg_7576931184580494.jpg)
김관욱은 어려서부터 감각이 "과잉" 발달하여 타인의 고통에 눈과 귀가 열렸다. 경쟁사회 생활인에게 과잉감각은 약점이겠지만 실천하는 인류학자에게는 축복이다. 그는 "노동"에 대한 이미지를 축 삼아 [지불되지 않는 사회]를 구성하였다. 독자는 노동의 "숨가쁨"(청각), "허무감"(감각), "바쁨" (시각), "상처"(시각)에 공감각하며 김관욱의 뜨거운 질문을 공유하게 된다.
최초의 질문은 단순하지만 본질적이다. "왜 오늘날 대한민국에서 (어떤 이들의) 노동은 소모되면서도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가?" 김관욱은 치열하게 구축해온 학문세계의 언어와 풍부한 현장연구 데이터를 빌어 이 질문을 탐색한다. 그는 자본주의 기원과 야만적 축적(노동가치의 저평가) 현실을 소개하고, '과로-성과체제'가 초래한 '분열적 피로'와 '우울' 그리고 '절망사 death of despair'의 현실을 안타까워한다. 또한 우리사회가, '생존을 위한 밥줄이 오히려 목숨을 위협하는 가혹한 노동현실'에 희생된 이들에게 위로나 치유보다는 혐오를 쏟는 "탈脫도덕"의 사회로 가고 있지 않나 우려를 표한다.
김관욱은 타인의 고통에 귀를 닫고 심장이 차가워진 사회, 환대의 의례가 사라진 사회, 그리고 내편-네편을 경계짓는 "덩이 존재론"에 갇힌 사회의 암울함을 지적한다. 동시에 그는 인류학자 제이슨 히켈, 철학자 한병철, 인류학자 팀 잉골드, 사회학자 사라 아메드의 사상에서 혜안을 빌어와 대안을 제시한다.
일하다 다치거나 아프고 죽는 사회가 아니라 "능력만큼 일하고, 필요한 만큼 가져가는" 사회가 되기 위해 우리에게는 서로 매듭처럼 연결된 "선line의 존재론"과 "공감의 정동affect"이 필요하다. 의외로 작은 데서 시작할 수 있다. 타인의 고통에 귀를 열고, 서로 돌보면 된다. 의료인류학자 김관욱의 과잉감각과 뜨거운 질문이, 그래서 더 소중하다. 고맙습니다.
[해당 리뷰는 출판사에서 무상으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