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몽은 이 일에 적응하기 쉽지 않았지만 헌병으로서 최선을 다해보기로 결심했다고 말을 이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생각이 바뀌어 처음 지원했던 두 실습 과정에서 떨어진 게 오히려 다행이라 여기게 됐다고 했다. 그가 과거를 회상하며 말했다. "순찰이 아주 잘 맞더라고. 지난날의 상처를 완전히 회복하지 못해서 더 나은 앞날을 상상할 수 없었던 건지도 몰라."- P247
피슈그뤼 선생님이 죽었다니. 내가 내 과거에 어떤 감정을 느낀게 언제였던가? 나는 어떤 감정이라도 들기를 기다렸다. 꼭 선생님이 아니라 그 외 어떤 과거에 대한 감정이라도. 슬픔과 후회의 감정은 이미 수년 전에 말라붙어 각질처럼 벗겨진 지 오래였다. 때로는 필요한 것이 곧 자연스러운 것이기도 했다. 나는 피슈그뤼 선생님을 기리며 술병을 들었다. ‘편히 잠드세요, 선생님.‘- P260
비참한 미래와 망가진 척추, 내 눈에 들어오도록 자기 고개를 꺾던 여자의 모습이 떠올랐다. 그 모습을 본 이후로 몇 달 내내 혼란스러웠지만, 이제 이해가 됐다. 자기 삶을 되돌리고 싶었던 그 여자가 뤼시의 탈주 경로를 틂으로써 이곳의 내게 기회를 주려는 음모를 꾸민 것이다.- P309
겨울이 남기고 간 황폐함 속에서 피어난 초록 새싹을 보면 늘 다른 세계에 와 있는 것 같았다. 오랜 투병을 마치고 마침내 고른 숨결을 내뱉듯 대지에 색채가 돌아왔다. 바람이 한 점씩 불어올 때마다 황금빛 꽃잎, 푸른 잎사귀가 열광하며 언덕을 깨웠다.- P340
돌이켜 보니 아쉬운 일들, 후회되는 일들이 슬픔이 되어 오랜 열병처럼 여전히 내 속을 헤집고 있었다. 또 다른 그림은 사택 창틀에 비친 예배당 묘지의 풍경을 담고 있었다. 묘비는 내가 조각해 넣은 것 중에 사람과 가장 가까운 대상이었다.
혹시 내가 외로워서 이런 걸까? 지금 내게는 인생을 함께할 누군가보다 인생을 함께한다는 것 자체가 더 중요할지도 모른다.- P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