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책이 있어 반짝이는
작가 존 다가타의 글은 중앙에, 팩트체커 짐 핑걸이 조사한 사실이 작가의 글을 둘러싸듯 좌우로 감싸는.. 독특한 구성이다.
짐 핑걸과 편집장이 주고 받은 글들도 함께 게재되어 있다. 팩트를 체크해가며 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확인된 내용은 검은색, 확인되지 않았거나 부정확한 내용은 붉은색(사실충돌)으로 나타낸 것 같다. 그런데 온통 붉은색 투성이다.
에세이라고 해서 처음부터 끝까지 사실만을 적용해서 글을 쓰는건 아니구나 싶다~
이제 시작 부분을 읽었을 뿐이지만 ... ...

존 다가타의 글의 주제는...라스베이거스에 만연한...‘자살‘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작가
열여섯 살 레비 프레슬리가 스트
래토스피어 호텔앤드카지노의
350미터 높이 타워 전망대에서
뛰어내린 그날, 라스베이거스에
서는 시 당국이 영업 허가를 받은
관내 스트립 클럽 서른네 곳에 대
해 한시적으로 랩댄스를 금지시
켰고, 고고학자들은 세계에서 가- P13
…영업 허가를 받은 관내 스트립 클럽 서른네 곳에 대해. 사실 충돌: 저자가 이 수치를 어디서 얻었는지가불분명합니다. 라스베이거스 소재 스트립 클럽 수와관련해 저자의 노트에서 참고할 만한 자료라곤 『어덜트 인더스트리 뉴스Adult Industry News』라는 포르노 업계 소식지에서 복사했다는 기사 한편이 전부거든요.
그러니까 정보의 출처부터가 좀 의심스럽단 얘기죠.
어쨌든 그 기사에선 1995년 이래로 "[라스베이거스
(붉은색)- P13
내] 스트립 클럽 수가 세 곳에서 열여섯 곳으로 급증"
했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더 읽어보면 "상의 탈의혹은 나체쇼 클럽이 서른한 곳"이라는 설명도 나오거든요(『어덜트 인더스트리 뉴스 2003년 1월 3일자에 수록된 앤지 와그너의 기사 라스베이거스 섹스산업, 정부 랩댄스 단속에 맞서 참조). 따라서 설령이 자료를 믿고 기사의 모순을 눈감아준다 해도, 여전히 스트립 클럽이 서른네 곳이라는 저자의 설명이 뒷받침되진 않습니다. 그리고 설령 기사가 저 수치를 뒷받침한다 해도, 한 기사에서 전혀 맞지 않는 두 수치를 제공하고 있다는 모순을 고려할 때, 기사 자체의 귄위가 여전히 문제로 남습니다. 어떡할까요, 저자에게 수치를 명확히 해달라고 요청해야 할까요?

편집장: 그래야죠, 얼른 수치가 맞는지 좀 봐달라고 요청해보세요.

(붉은색)- P13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