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책이 있어 반짝이는
11장| ‘아이보리 스노우‘처럼 하얀 백인 아기

11장의 제목만으로도 이미 너무 끔찍하고 잔인하다.


1940년대 말 백인 신생아 입양을 원하는 불임 백인 부부의 수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신생아를 빨리 입양하고자 하는엄청난 수요"와 입양할 아이를 빨리 확보하려는 사람들로 인해 "미혼모를 번식 기계로 여기는 경향이 점차 커졌다"(Young1953).
높은 수요와 백인 아기의 낮은 공급은 미혼모에게 아기를포기하라는 압박을 가했다. 아동국 특별자문위원이었던 손힐은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
입양에 대한 인기는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문제를 가져 왔다.

백인 어린 아기들을 원하는 엄청난 수요가 형성되고 있기에아동국은 이런 아이들을 조사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입양가능한 영아의 수는 늘었으나 그 증가율이 수요를 따라가지못하고 있다. ... 한편 엄마들이 아동 포기를 하는 과정에서 권력 남용을 경험한다는 보고가 있다. (Thornhill 1955:179)- P113
리드는 입양 시장에 나와 있는 백인 아기, 특히 파란 눈의 백인 여자 아기가 부족하다고 보는 관점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P114
입양할 아이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입양을 원하는 부부의 과잉이다. 매년 입양할 수 있는 아기들은 9만 명 정도인데, 70만에 가까운 부부가 입양을 원한다. 게다가 이들 부부의 95%가 백인 아기를 원한다.*** 입양할 수 있는 아기들은 거의 혼외출산 아동들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매해 출생하는 백인 사생아는 단지 54,100건 정도이다. 우리 기관에 있는 입양 가능한 아이 중 너무도 많은 사람이 원하는 ‘푸른 눈의 여자 아기‘는 거의 없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Reid 1956)- P114
백인 미혼모는 점차 공급자로 인식되었고, 그들이 출산한 아기는 시장의 상품으로, 나아가 증가하는 수요 충족에 필요한 백인 아기를 공급하는 귀중한 자원으로 여겨졌다. 당시 저명한 사회학자 중 한 명인 빈센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백인 미혼모에 대한 비난은 그들이 입양 가능한 유아들을 공급하는 가장 크고 유일한 원천으로 표상될 때 완화될 것이다.
아이 없는 부부들의 가족 만들기라는 소중한 목표 성취에 도움을 줌으로써 백인 미혼모는 유용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한다. 의사, 변호사, 사례관리자 들이 증언하듯 보수적으로 보았을 때 약 백만 명의 비자발적 무자녀 부부가 있고, 이 나라의 백인 부부들은 입양 가능한 백인 영아 공급의 주요 원천이 사라지면 그리 행복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공개적으로 논의되지 않았으나 … 사생아를 계속 태어나게 하느냐, 아니면 입양 가능한 유아 공급을 줄이느냐, 이것은 딜레마이다.
(Vincent 1962)- P114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