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책이 있어 반짝이는
《산책자》 로베르트 발저/배수아옮김

<프리츠>,<그거면 됐다!>, <설강화>를 읽었다.
단편이라고 하기도 힘들 정도로 짧고..
거기다 소설이라기보다 에세이라고 말하는게 더 어울리는 글들이다.
잠시 시간 내서 읽기에 딱 좋다.

작년 가을 끝자락에 ‘설강화‘를 알게 되었다.
작은 정원이지만 키워보고 싶은 꽃과 나무는 넘치는데 다 심을 여력이 안되니 매일 검색하고 구경하고... 그러다 마음을 접게 된 것이 ‘설강화‘였다. 겨우내 쌓인 눈 밑에서 피어보지도 못하고 얼어버릴까 걱정이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설강화‘는 눈 속에서도 꽃을 피우는 것 같다. 올핸 눈이 녹는 양지에 심어보고 싶다.
설강화는 1월의 탄생화이다!

그동안 기온이 높아 눈이 거의 녹았었는데...
오늘 펑펑 눈이 내려 또 쌓이고 있다.
해가 닿지 않는 응달은 아직 다 녹지도 않았었는데
또 쌓이고 있다.
얼른 나가서 염화칼슘 뿌리고 왔다.






나는 설강화를 보았다. 정원에서, 그리고시장으로 가는 한 농부 아낙네의 마차에서.
그 자리에서 당장 한 다발을 사고 싶었지만,
곧 저리도 여리고 섬세한 존재를 원하기에는 나라는 인간이 너무도 우악스럽고 투박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여쁜 설강화는 세상 모두가 사랑하는 것의 도래를 최초로 알려오는 수줍은 사자이다. 누구나 다 봄이 오리라는 느낌을 사랑한다.
... 설강화여, 너희는 무슨 말을 하고 있는가? 
그들은 아직도 겨울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그안에는 봄이 깃들어 있다. 그들은 지나간 시간을 이야기하지만 그것은 당돌하고 쾌활한 새로움을 품고 있다. 그들은 추위를 이야기하지만 그것은 곧 따스함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들은 눈(雪)을 이야기하면서 동시에 초록과 파릇하게 돋는 새싹을 말한다. 그들은 이것과 저것을 동시에 이야기한다. 그들은 말한다. 아직도 그늘과 높은 산에는 눈이 많이 쌓여 있지만 양지바른 곳에는 이미 눈이 녹고 있다고. 
황량함이 다 지나가려면 한참 더 남았다. 사월은 아직 너무 멀다. 그러나 소망은 결국 승리할 것이다. 따스한 온기가 세상 구석구석에 스며들 것이다.
꿋꿋하게 참고 견뎌라. 좋은 날은 그다음에 오리라. 좋은 날은 항상 우리 생각보다 가까이에 있다. 인내심이 장미를 피운다. 최근에 설강화를 보았을 때, 나는 이런 훌륭한 옛 격언들이 떠올랐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