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한국말이 아장아장...
  • 조선인  2012-03-09 09:41  좋아요  l (1)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예문을 옮겨보면
    '-으면'이 '-다면'보다 좀 더 광범위하게 쓰인다고 볼 수 있겠네요.
    '-다면'은 '-으면'으로 바꿀 수 있지만 '-으면'을 '-다면'으로 고치면 어색한 말이 있어요.

    <서로 바꿔쓸 수 있는 경우>
    내일 날씨가 좋으면 소풍을 가겠다 / 내일 날씨가 좋다면 소풍을 가겠다.
    정원에 사과나무를 심으면 잘 자랄까 / 정원에 사과나무를 심는다면 잘 자랄까
    이제 집에 갔으면 좋겠다./ 이제 집에 간다면 좋겠다.
    돈이 많으면 너를 도와줄 텐데. / 돈이 많다면 너를 도와줄 텐데.
    기차가 제시간에 왔으면 우리가 지각하지 않았을 텐데. / 기차가 제시간에 왔다면 우리가 지각하지 않았을텐데
    음식이 많았으면 배불리 먹었을 텐데. / 음식이 많았다면 배불리 먹었을 텐데.

    <'- 다면'을 쓰면 어색한 경우>
    상한 음식을 먹으면 배탈이 난다.
    산이 높으면 골이 깊다.
    책만 읽으면 존다.

    즉, 원인과 결과과 늘 일치하거나 반복되거나 할 경우에는 '-다면'이 안 쓰인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 ChinPei  2012-03-10 00:31  좋아요  l (0)
  • 많은 예문 올려주셔서 감사해요.
    광범위하다 ... 역시 그러네오.
    저도 아무리 생각해도 차이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고 해서 해설하지 못했어요.
    감사해요 ^ㅇ^//


트위터 보내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