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설 요리의 대표이자 주역은 "お節料理(오세치 료우리)"이다. 흔히 "오세치"라고도 한다.
(* 우리 집에선 한국 설 요리밖에 만들지 않기 때문에, "오세치"에 관해서 아는 것이 거의 없다.)
"오세치"는 요리의 한 종류라고 하기보다, 하나하나의 "집합체"라고 해야겠다.
또 "오세치"를 담는 그릇은 반드시 찬합(일본:重箱[쥬으바코])이라야 한다. 그건 "행복이 되풀이된다(포갠다)"는 뜻을 가지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요리는 며칠 보존할 수 있도록 조리한다. 이건 부엌을 지키는 가미(神)에게 설 날만이라도 편히 쉬시라는 감사의 마음이라고도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부엌에서 일을 하는 사람(주로 주부. 거의 매일 부엌 일을 하지요)들이 며칠만이라도 쉴 수 있도록 배려하는 의미도 있다고 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1626123623261.jpg)
육각 찬합
하나하나의 요리 내용에 대해선 아래를 참조.
http://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1/24/2007012400587.html
요즘은 설이라고 해서 "오세치"를 준비하지 않는 집도 많다고 한다.
사실 "오세치" 요리는 보존을 목적으로 매우 진하고 달게 만들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선 싫어 할 경우도 있다.
더구나 이 현대에 설날이라고 해서 반드시 "오세치"를 먹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또 설에는 해외에 가서 일본에 없다는 사람에게는 "오세치"건 뭐건 상관없을 것이다.
일본의 설 요리속에서 또 하나의 주인공이 "お雜煮(오조우니 ≒ 일본식 떡국)".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오세치"는 진하고 달기 때문에 많이 먹기는 힘들다.(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래서 쉽게 만들 수 있는 "お雜煮(오조우니)"를 먹는다.
"お雜煮(오조우니)"는, 떡이 들어간다는 건 다 마찬가지지만 기타 건더기는 지방에 따라 다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1626123623262.jpg)
나고야 지방 오조우니. 건더기는 매우 심플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1626123623263.jpg)
교토 지방의 오조우니. 흰 된장을 사용한다는 점이 독특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1626123623264.jpg)
오사카 지방의 오조우니. 오리, 방어를 넣는다고 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1626123623265.jpg)
도쿄 지방의 오조우니. 카마보코(생선 묵?)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한다.
또한 설에 집안 곳곳에 둔 鏡餠(카가미모치)를 1월 7일 이후에 깨고(이걸 "鏡開き(카가미 비라키)"라고 말한다.) "お雜煮(오조우니)"에 넣어 먹기도 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1626123623266.jpeg)
"鏡開き(카가미 비라키)"는 칼로 베면 안된다. 목메(나무 망치)로 부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1626123623267.jpg)
매우 현대적인 "鏡開き(카가미 비라키)" ^ㅇ^
"鏡開き(카가미 비라키)를 한 떡은 "お雜煮(오조우니)"보다 "お汁粉(오시루코)"를 해서 먹는 경우가 많다.
그러니까 디저트란 말이다.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1626123623268.jpg)
お汁粉(오시루코) = 단팥죽에 떡을 넣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