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비의식
  • 남자의 자리
  • 아니 에르노
  • 10,800원 (10%600)
  • 2024-06-21
  • : 1,918

“저는 에토스와 존재의 방식, 생각하는 방식조차 달랐던 세계를 지나왔죠. 그 충격은 여전히 제 안에, 육체적으로도 남아 있어요. 어떤 상황들은....아니, 쑥쓰러움이나 불편함이 아니라, 자리, 마치 저의 진짜 자리가 아닌 것 같아요.” - 《진정한 장소; le vrai lieu》, 80쪽에서

 

아니 에르노가 미셸 포르투 감독과 진행한 인터뷰 모음집인 《진정한 장소; le vrai lieu》는 그녀가 제자리, 혹은 진정한 장소를 찾았다는 느낌에 이르는 내적 여정을 되짚어보는, 즉 자신의 존재 양상을 술회하는 글이다. 이 대담 속 한 문장의 인용으로 시작하는 까닭은 이 책, 《남자의 자리 ; La Place》는 어쩌면 그 여정의 주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는, 바로 현재 감각하는 자신의 자리에 끊임없이 출몰하는 지나온 자리와의 괴리, 긴장과 모순으로 얽혀 분열된 아비투스로 주체가 대립되는 두 얼굴의 화해를 위한 관계 회복의 글쓰기라는 생각에서이다.

 


이 작품의 읽기를 추동한 것은 클레르 마랭의 《제자리에 있다는 것; etre a sa place》으로 촉발된 것이기도 하지만, 분명 지금의 내 자리가 잘못된 자리라는 굴레로 여겨짐에 따른 그 벗어남의 갈등을 이해하려는 노력이기도 했다. 당분간 이 ‘자리’에 대한 읽기는 계속될 것 같다. 온전히 자리의 감각에 대한 내밀한 체화를 통한 이해에 이르기까지, 물론 클레르 마랭은 계급 횡단, 다시 말해서 사회 하층의 삶에서 중산층의 삶으로 이동한 사람들을 말하며, 그들이 겪는 육신에 새겨진 아비투스와 새로 진입한 세계에서의 아비투스의 분열로 인한 은밀히 습격해오는 자기 위선의 감각에 대한 혼란스러움의 지적을 통해, 자리가 사회적 정체성의 한 측면을 의미함에 있어 아니 에르노의 《남자의 자리》를 예시하고 있지만, 아니 에르노의 이 책은 그녀 자신의 현재를 이해하기 위한, 자기 자리, 진정한 자리를 확신하기 위한 내적 관계회복의 여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린 시절부터 농장 일꾼으로 밥벌이를 하여야 했으며, 공장 노동자와 밭 일꾼의 삶을 전전해야했던 아버지의 인생과 작가 자신의 어린 시절 아버지와의 사이에 찾아온 거리, 계층 간의 거리이며, 이름 없는 그 특별한 거리에 대한 이별의 사랑별곡일 것이다. 아니 에르노는 아버지라는 남자의 자리, 그것을 꾸밈없이 존중하고 배반없이 묘사하며 가족과 자신에 대한 수치심과 부인(否認)의 감정을 극복하기 위한 이 글쓰기를 통해 정화된 새로운 탄생을 시도한다.

 

【본문 47쪽에서】

 

자신의 열등감이 내면화된 한 인간의 자기 방어의 말일 것이다. 사회와 타자를 의식해 스스로 자기 목소리와 행동을 억제하며 자기 자리를 지켜내기 위해 자신도 모른 채 자기 실존을 그대로 드러내는 말이다.  아버지의 이러한 태도는 딸인 아니 에르노에게도 내면화 되었는데, 이 작품에서도 표현되고 있지만 또다른 작품 《La honte; 부끄러움, 수치심》에서도 거듭 반복되고 있음에서 한 존재의 내면을 차지하게 된 빈곤과 계층의 열등감은 그녀가 지식인 중산계급에 진입하고서도 제자리에 대한 불안의 중대 요소였음을 의미할 것이다.


【본문 35쪽에서】

 

이렇게 지극히 당연하게 흘러가던 순간들을 세세하게 상기함으로써 하류라 여겨지는 삶의 방식에 대한 명예 회복과 그에 따른 소외를 고발하는 일 사이에서 좁다란 길을 발견한다. 바로 그러한 삶의 방식은 오롯이 그녀와 그녀의 가족의 것이었고, 심지어 행복하기도 했으며, 수치스러운 장벽들의 인식임을 고스란히 드러냄으로써, 지난 그 자리가 행복이자 동시에 소외이기도 했음을, 그 모순 사이에 흔들리는 존재들임을 확인한다. 그럼으로써 저자는 내밀한 진리에 대한 기나긴 픽션을 통해 불투명했던 것들에 빛을 비추고, 적절한 거리를 두고 자신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적절한 거리, 감정 조절, 말의 콘트롤”, 수사학적 기교를 깡그리 제거한 사실을 바탕으로 하는 이 글쓰기를 통해 그녀는 진정한 자신의 자리를 확인한다.

 

아니 에르노는 “글쓰기는 나만의 장소다.”라고 말한다. “자신이 자리한 모든 장소 중 유일하게 비물질적이며, (...) 어쨌든 그곳에 그 모든 장소가 담겨있다고 확신한다.“ 아버지와 자신의 정체에 의심을 갖게 하는 지나온 자리의 끊임없는 불편함은 “자신도 모르게 힘 또는 굴욕의 징표들을 가지고 있는 이들, 그녀의 아버지가 살던 환경”이라는 잊고 있었던 현실을 되찾게 한다. 이렇게 그녀는 “교양 있는 부르주아의 세상으로 들어갈 때, 그 문턱에 두고 가야했던 유산을 밝히는 일을” 마친다.

 

우리는 생애 내내 자리를 이동하는 존재들이다. 발목 잡는 지난 자리의 정체성, 그리고 현재의 또다른 굴레들, 삶이 지닌 복잡성 속에서 다시 태어나는 시도는 정말 어려운 일이다. 자신을 온전히 내맡겨 흡수되며, 그 지배력 속에서 오히려 순수한 활동성, 존재감의 강화, 가득 찬 현존을 느낄 수 있는 고유한 내적 필연성의 장소, 있어야만 하는 장소라는 느낌, 내 주체의 역량의 증진과 창조능력의 긍정이라는 형식임을 느끼게 하는 자리임을 확인하려는 노력은 아마 눈을 감을 때까지 지속될 모양이다. 인생의 불투명함을 밝히기 위해, 그 삶을 구하기 위한 이 글이 지금 이 순간의 나와의 화해를 위한 방편을 생각해보라 권유하는 듯하다.

 

“노(rame)가 우리를 뱅뱅 돌게하네” - 아버지가 부르곤 하던 노래, 93쪽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