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책이 있는 구석방
  • 구운몽 : 인생사 덧없다
  • 이영민
  • 8,550원 (10%470)
  • 2012-08-30
  • : 243

[My Review MCMXVIII / 휴이넘 1번째 리뷰] 서포 김만중의 한글소설 <구운몽>을 모르는 이는 없을 것이다. 중고등학교 필독서로 지정되었고,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을 정도로 널리 알려진 소설이라 '수능'에서 다루지 않은 지 오래 되었더라도 '내신'과 '수행'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할 작품으로 다뤄지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학교 시험에서 나올 법한 내용부터 정리해보자. 크게는 세 가지다.

하나는 <구운몽>은 사대부 양반인 김만중이 손수 지은 '순한글문학'이라는 점이다. 조선 숙종 때 여러 차례의 환국과 붕당정치로 인해 수많은 관료들이 유배를 가곤 했는데, 그 무리 중에는 서포 김만중도 포함되어 있다. 무려 6차례나 유배를 갔다고 한다. 그렇게 유배를 가니, 홀로 남겨진 어머님께 위로를 드릴 겸 편지와 글을 써서 보냈는데, <구운몽>도 바로 그런 효심에서 비롯되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그래서 <구운몽>을 '유배문학'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다른 하나는 이 소설이 '몽자류 소설'이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현실'에서 '꿈속'으로, 다시 '꿈속'에서 '현실'로 되돌아오는 '몽유계 소설'인데, 현실을 묘사한 대목에서도 '주제'가 담겨 있고, 꿈속을 그린 대목에서도 '주제'를 읽을 수 있기에 '몽자류 소설'이라 부른다. 한편, 몽유계 소설에는 '몽유록 소설'도 있는데, 역시 마찬가지로 '현실-꿈속-현실'의 구성을 보여주지만, '현실'을 다룬 부분에서는 주제를 찾을 수 없고, 오직 '꿈속' 이야기에서만 주제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몽자류 소설'과 구분이 된다.

또 하나는 <구운몽>이 불교적 색채가 강한 소설이지만, 꿈속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유교적인 양상'을 강하게 띠고, 소설 전반적으로는 신선이나 용왕, 도술, 그리고 상서로운 사건들이 벌어지고 있어서 '도교적인 표현'도 아주 잘 드러나 있다. 그런 까닭에 이 작품을 '유불선 사상'이 합일되어 있다고 분석한다. 이러한 내용들이 주로 시험에서 다루는 부분이기에 정리해두면 좋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런 '교과서적인 해석'만이 <구운몽>의 전부는 아니다. 현실세계의 '성진'이 얻는 깨달음이 불가에서 말하는 '인생무상(인생사 덧없음)'이고, 꿈속세계에서 '양소유'가 누린 삶의 즐거움이 유가에서 중시하는 '입신양명(출세하여 명성을 널리 알림)'이며, 작품 전반적으로 흐르는 도가적인 분위기에서 '신비함과 신묘함'으로 재미를 증폭시키는 것으로 <구운몽>을 모두 읽었다고 말한다면, 이 소설을 '필독서'라고 지정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이미 '모범답안'이 나와 있는데, 뭘 더 읽으라는 말인가. 그저 '요점정리'한 내용을 달달 외워서 '시험성적'만 높이면 그뿐일텐데 말이다.

모름지기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들은 아주 우수한 작품이란 증거다. 우수한 작품으로 실린 까닭은 '딱 한 번만 읽으면 족하다'는 뜻이 아니라 '두고 두고 읽어도 좋고, 읽으면 읽을수록 읽는 맛이 우러나는 훌륭한 작품'이란 뜻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구운몽>도 읽으면 읽을수록 새로운 맛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그 새로운 맛을 어디서 찾으면 좋을까? 나는 '양소유의 삶'에서 그 재미를 찾으려 한다. 왜냐면 양소유의 이름부터 '양기가 철철 넘치도록 이 세상 한껏 즐기며 노닐다'라는 뜻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양소유의 곁에는 '팔선녀'가 함께 한다. 성진스님과 외나무다리에서 마주친 위부인을 모시는 아름다운 시녀들이 바로 '팔선녀'의 정체인데, 이들이 모두 꿈속에서 '인간세상'으로 다시 태어나니 진채봉, 계섬월, 정경채, 가춘운, 난양공주(이소화), 적경홍, 심요연, 백능파가 그녀들이다.

그런데 <구운몽>을 색다른 재미로 읽는 방법으로 '팔선녀'를 현생의 아이돌로 대체해도 좋단 말이다. 내가 고등학교를 다닐 때에는 '핑클'과 '베이비복스' 멤버로 팔선녀를 구성했다. 30대에는 '소녀시대' 멤버로 꾸미기도 했다. 지금이라면 '4세대 아이돌' 멤버들을 골라서 장원영, 안유진, 카리나, 윈터, 엔믹스 설윤, 해원, 뉴진스 민지, 하니 등등으로 꾸며서 읽어도 색다른 맛이 아니겠느냔 말이다. 아 참..이번에도 '카라'는 빼먹었네. 어차피 일장춘몽에 불과한 인생사이고, 덧없는 하룻밤 꿈속에서 벌어지는 일이라면 무슨 상상인들 하지 못하겠느냔 말이다. 할 수 있다면 '돈 잘 버는 여성', '요리 잘 하는 여성', '노래 잘 부르는 여성', '권력을 쥐고 있는 여성', '천재적 지능을 가진 여성', '애교가 철철 넘치는 여성', '외모가 아름다운 여성', 그리고 '가정적인 여성'이 남편을 한결 같이 존경하고, 부인들끼리 서로 우애가 넘치도록 한 집에서 시부모님께 효도하며 살아가는 상상을 하면서 읽어도 좋단 말이다.

그렇다면 남성독자들의 전유물이라고 오해할 수도 있으니, 그럼 여성독자들은 어떤 상상의 나래를 펼치면 좋을까? 남성독자들에게 '팔선녀'라면, 여성독자들에겐 '팔선남', 아니 '팔꽃남'으로 각색해보아도 좋을 것이다. 함께 논술수업을 진행한 여학생은 국적불문하고 '휴 잭맨'을 으뜸으로 꼽고서는 '아스트로 차은우', '공유', '현빈', '강동원', 'BTS 진', '이동욱', 그리고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를 선택했다. 뭐, 여성독자라면 차고 넘치는 '잘난 남자들'을 다 선택해서 읽어도 즐겁지 않겠는가? 돈도 많고, 잘 생기고, 몸매 좋고, 성격 좋고, 사회적 지위까지 누릴 거 다 누리며 사는 남자들을 자신은 '공주'가 되어 곁을 지키는 호위무사로 삼아도 좋고 말이다.

나는 이렇게 <구운몽>을 읽을 때마다 수없이 많은 버전으로 읽으며 '인생의 낙'을 즐기고 또 즐긴다. 그러나 그러한 꿈 같은 일이 결국엔 '다 부질 없다'는 주제를 다시금 되새겨본다. 성진의 깨달음을 일깨워주기 위한 '육관 대사'의 의도가 바로 이것이니 말이다. 누릴 수 있을만큼 원 없이 다 누려본 뒤에 비로소 그런 것들이 모두 다 '부질 없음'이라는 사실을 깨달아 보라는 것이다. 호사도 누려보아야 '별것 아니다'라는 것을 진정으로 깨닫게 된다. 어설프게 누려보거나 아예 누려보지 못하면 '평생의 한'으로 남아, '부자가 되게 해주세요', '초능력을 갖고 싶어요', '초절정 미남/미녀가 되게 해주세요' 따위의 소원을 가없이 빌기 마련이다. 그런데 <구운몽>을 완독하고 나면 비록 '꿈속일망정' 원 없이 다 누린 '양소유의 삶'이 사실은 인생의 진정한 바람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인간이 죽을 때가 되니 모든 것을 다 내려놓고 '저 세상'으로 갈 수밖에 없기 때문만은 아니다. 거꾸로 생각을 해도 마찬가지다. 불로장생약이 있어서 '천수(千壽)'를 누린다해도 인생의 낙을 그리 오래 누리지 못하고, 금세 질려버린다는 사실을 깨닫기 마련이다. 안 그럴 것 같지만, 재밌는 게임도 100년동안 하라면 못할 것이며, 즐거운 파티도 100년을 계속하면 지루해질 것이다. 그럼 10년동안은 재밌고 즐거울까? 우리네 인간의 청춘(젊음)이 20살부터 39살까지 대략 20년 가량이라는 것이 참 신묘할 지경이다. 40대, 50대가 되면 늙어서 체력이 떨어져서 못 노는 것이 아니라 '노는 것'이 슬슬 지겨워져서 더는 놀고 싶어지지 않게 된다. 내 나이가 50대로 접어들어서 <구운몽>을 다시 읽으니, 육관 대사가 성진스님에게 깨우치게 하려는 것이 무엇이었는지 '또 하나'를 깨우치게 되었다.

흔히들 <어린 왕자>같은 명작 소설을 '10대에 느낀 감동', '20대에 느낀 감동'이 사뭇 다르다고 말한다. 그렇게 30대, 40대, 50대를 지내며 주기적으로 되새기며 읽은 책들의 재미도 사뭇 달라지기 마련이다. <구운몽>도 그렇다. 10대에는 '팔선녀의 외모'에 주목해서 멤버만 바꿔도 희희낙락하며 즐거웠는데, 20대가 되니 '입신양명'이 간절했고, 30대가 되니 '팔선녀의 외모'보다는 '팔선녀의 능력'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었고, 40대가 되니 '입신양명'을 넘어 '안락한 노후마련'을 위해서라도 출세가 간절했으며, 50대가 되니 비로소 '인생무상'이란 말의 참뜻을 깨우치게 되었다. 60대가 되면 <구운몽>을 또 어떻게 이해하게 될지 몹시 궁금해진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