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도요새님의 서재
  • [전자책] 구글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 OKR
  • 크리스티나 워드케
  • 14,000원 (700)
  • 2018-12-06
  • : 374

전자책 총 104쪽 기준 (계속 업뎃해볼까 합니다)


72쪽

원문: "They don’t have to be great works of poetry. They do have to be simple, memorable and act as guide when you make a decision about how to spend your time."

원번역: "사명이 시처럼 근사한 구절일 필요는 없다. 간단하고 기억하기 쉬우며, 당신이 시간을 어떻게 보낼지 고민할 때 안내를 해줄 수 있으면 충분하다."

제안: "사명은 시처럼 근사해서는 안된다. 간단해야한다. 기억하기 쉬워야 하며, 당신이 시간을 어떻게 써야만 하는지를 결정해주는 가이드라인이 되어야만 한다."

- don't have to be가 유보적으로 "할 필요는 없다"라는 뜻으로 번역이 되는 것도 좋지만, 사실 제가 경험한 바로는 조금 더 적극적인 부정의 의미를 다만 너무 강한 어조로만 표현하고 싶을 때 주로 활용되었던 것 같습니다. 뜻을 조금 더 분명하게 드러내는 이런 식의 번역도 책의 핵심을 잘 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2.

revenue가 매출이 아니라 계속 profit을 의미하는 수익으로 번역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번역은 이를테면 75쪽의 다음과 같은 문장을 조금 모호하게 만드는 측면이 있습니다:

"핵심 결과지표를 똑똑하게 정한다면 발전과 실적 또는 "수익"과 질처럼 충돌할 수도 있는 요소들을 확실히 드러내면서 균형을 맞출 수 있다."


revenue는 매출을 의미하고 회사의 성과를 측정함에 있어서 "profitability" 지수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수치를 "양"에 매우 biased된 수치로 받아들 수 있습니다. (즉 이 변수는 정의상 non-negative입니다). 반면 수익은 "품질이 우수한" 상품 혹은 서비스를 시장에 제공했을 때 수반될 수 있는 것이기도 해서 "질"이라는 것과 잠재적인 길항관계에 있다고 말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이런 뜻이 더욱 잘 드러날 수 있게 하려면 아무래도 revenue를 원래 비지니스 용례에 따라 "매출"로 번역해주심도 좋을 것 같습니다.


3. 76쪽

Performance Upon Launch Equivalent to an Established Company

"기존 회사와 동일하게 출시할 경우 성과"

-> "향후 서비스 출시 시점의 서비스 성능을 기존 회사와 동일한 수준으로 맞춘다"

: 이 부분은 OKR의 한 예를 드는 부분으로서, 약간 축약된 영어 표현 자체가 회사의 objective로 제시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제안된 번역이 조금 더 자연스러울 수 있겠습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